코로나로 날았던 ‘줌’… 직원 15%, 1300명 감원

코로나로 날았던 ‘줌’… 직원 15%, 1300명 감원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3-02-09 01:06
수정 2023-02-09 06: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비대면 화상회의 ‘반짝 특수’
성장 둔화… 1분기도 감소세

이미지 확대
화상회의 업체 줌 로고.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화상회의 업체 줌 로고.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비대면 화상회의 플랫폼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의 수혜를 누렸던 줌(Zoom)이 감염 끝물에 대규모 감원을 발표했다.

에릭 유안 줌 최고경영자(CEO)는 7일(현지시간) “팀을 15% 축소하고 1300명의 동료에게 작별을 고하는, 힘들지만 필요한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줌 직원 수는 2019년 1월 말 기준 1700명에서 지난해 10월 말 8400명으로 늘었다. 그러나 이젠 2022년 1월 말(6800명) 수준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블룸버그는 대규모 감원이 성장 둔화에 직면한 줌의 생존 전략이라고 해석했다. 지난 2개 분기 줌 매출 증가율이 한 자릿수에 그쳤고 올 1분기에도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본다.

지난해 총보수가 110만 달러(약 14억원)로 알려진 유안 CEO는 올해 자신의 급여를 98% 삭감하고 상여금을 포기하겠다고 밝혔다.

줌은 2020년 3월에는 하루 최대 줌 사용자가 유·무료 회원을 합쳐 2억명을 넘어서며 전년도 12월 말 기준 1000만명 대비 20배 늘었다. 주가는 같은 해 10월(559달러) 정점을 찍었다가 현재 85달러로 고점 대비 85% 주저앉은 상태다.

2023-02-0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