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대비 61.63포인트(2.56%) 하락한 2348.97을 나타내고 있다. 2023.3.14 안주영 전문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대비 61.63포인트(2.56%) 하락한 2348.97을 나타내고 있다. 2023.3.14 안주영 전문기자
미국 노동부는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동월대비 6.0% 올랐다고 14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 1월 물가상승률(6.4%)보다 하락했고, 2021년 9월 이후 가장 낮은 물가상승률다.
반면 시장전망치인 6.1%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깜짝 하락’은 없었다. 지난해 6월 최고점인 9.1%에서 빠르게 하락하던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12월(6.5%)부터 하락 폭이 더딘 상태다.
지난달 물가상승률은 전월 대비로는 0.4% 올라 역시 시장 전망치에 부합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보다 5.5%, 전월보다 0.5% 각각 올라 전월(전년동월대비 5.6%·전월 대비 0.4%)과 별 차이가 없었다.
최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예금 전액 보호’를 실시하며 실리콘밸리은행(SVB), 시그니처은행 등의 ‘파산 도미노’를 멈춰 세웠지만 위기설에 휩싸인 중소은행들의 주가가 급락하는 등 여진이 이어지면서 연준의 긴축 의지가 꺾일 수 있다는 분석이 많았다.
하지만 이날 나온 지난달 물가상승률이 6%대를 유지하면서 금리 인상 속도를 둘러싼 연준의 고민은 깊어질 전망이다.
전날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와치에 따르면 선물시장은 이번 달에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을 49.8%로 관측했지만 이날 물가상승률 발표 직후 8.5%로 급락했다. 반면 베이비스텝(0.25%포인트 인상)을 밟을 확률은 50.2%에서 91.5%로 급등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는 “인플레이션은 지난해 6월 정점에서 냉각되었지만 완고하게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며 “최근 실리콘밸리은행 등 금융기관의 붕괴는 (연준의) 결정을 복잡하게 만들었다. 연준은 금융 시스템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보다 신중하게 움직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