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순회의장국 헝가리에 ‘마이웨이 셔틀외교’ 해명 요구 계획

EU, 순회의장국 헝가리에 ‘마이웨이 셔틀외교’ 해명 요구 계획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4-07-10 00:18
수정 2024-07-10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헝가리 총리, ‘평화 임무 자임’ 중·러 방문…EU 공분

이미지 확대
2024년 7월 8일(현지시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수도 베이징의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와 만나고 있다. 2024.07.08 신화통신 연합뉴스
2024년 7월 8일(현지시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수도 베이징의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와 만나고 있다. 2024.07.08 신화통신 연합뉴스
유럽연합(EU)은 하반기 순회의장국인 헝가리의 오르반 빅토르 총리의 러시아, 중국 방문과 관련해 입장 표명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폴리티코 등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EU 대사들은 10일로 예정된 상주대표회의 안건에 오르반 총리의 잇단 순방 문제를 추가했다.

대사들은 회의에 참석한 헝가리 측에 강한 우려를 표명할 것으로 관측된다.

또 순회의장국을 맡는 동안 대외적으로 EU 전체 입장을 잘못 전달할 수 있는 행보를 삼갈 것을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익명의 한 EU 외교관은 “일부 회원국들은 헝가리가 의장국직을 활용하는 방식에 불안해하고 있다”면서 “헝가리가 (제3국과) 회담 소통 과정에서 순회의장국 명함을 사용하는 데 우려를 표명했다”고 설명했다.

EU 회원국들이 6개월마다 순차적으로 맡는 순회의장국은 EU 내부 입법 과정에서 유럽의회, 집행위 등과 협상 중재 역할이 주된 임무다. 대외적으로 EU를 대표하지 않는다.

하지만 ‘의장국’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이상 개별 국가의 입장이 대외적으로 EU 전체를 대변하는 것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5일 오르반 총리의 모스크바 방문에 “우리의 오랜 파트너로서뿐 아니라 EU 의장국으로서 왔다고 이해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3일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 4층에 12일 개관한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를 방문해 운영 현황 및 안전·편의시설 전반을 점검했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디지털 포용 정책의 핵심 거점으로, 어르신과 디지털 취약계층이 디지털 기술을 일상 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체험·상담 프로그램을 전면 무료로 제공하는 디지털 전문 플랫폼이다. 특히 이번 강동센터 개관은 김 의원이 동남권역 디지털동행플라자 거점을 강동구에 유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 성과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 동남권역센터 확충 논의 초기부터 강동의 고령층 수요와 지역 여건을 근거로 강동구 유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했고, 센터 설치가 확정된 후에는 관련 예산 확보 과정까지 직접 챙기며 사업 추진 기반을 다졌다. 이날 현장에서 김 의원은 프로그램 운영실, AI 체험존, 커뮤니티 공간 등을 직접 살펴보며 프로그램 난이도·기기 배치·이용 동선 등 운영 전반을 세심히 점검했다. 특히 ▲파크골프 ▲ AI바둑 로봇 ▲스마트 운동·게임기기 ▲AI 사진관 촬영 등 주요 체험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며 구민 관점에서의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오르반 총리는 전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에서는 “EU 순회의장국을 맡은 것을 계기로 EU-중국 관계의 건강한 발전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전했다.
이미지 확대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가 2024년 7월 5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마친 후 기자회견장에 들어서고 있다. 2024.07.05 EPA 연합뉴스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가 2024년 7월 5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마친 후 기자회견장에 들어서고 있다. 2024.07.05 EPA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