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 승객 등받이 젖혀 노트북 깨졌다”…‘비행기 예절’ 논란 불붙은 미국

“앞 승객 등받이 젖혀 노트북 깨졌다”…‘비행기 예절’ 논란 불붙은 미국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4-09-24 20:00
수정 2024-09-24 2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미국의 팟캐스트 진행자 팻 캐시디가 2020년 델타항공 여객기에서 겪은 기내 노트북 파손 사건 관련 사진. 소셜미디어(SNS) X(엑스).
미국의 팟캐스트 진행자 팻 캐시디가 2020년 델타항공 여객기에서 겪은 기내 노트북 파손 사건 관련 사진. 소셜미디어(SNS) X(엑스).


갑자기 등받이를 젖힌 앞 좌석 승객 때문에 간이 테이블에 올려뒀던 노트북이 파손됐다는 한 미국인의 사연이 재조명되면서 비행기 예절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가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미국 인터넷 매체 유니랜드에 따르면 팟캐스트 진행자 팻 캐시디가 겪은 기내 노트북 파손 사건이 온라인상에 재공유되면서, ‘좌석 등받이를 뒤로 젖히는 것을 전면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앞서 캐시디는 2020년 델타항공 여객기에서 앞 좌석 승객이 좌석을 뒤로 젖히는 바람에 간이 테이블에 올려뒀던 노트북이 망가졌다고 주장하며 항공사에 책임을 물었다.

그는 소셜미디어(SNS)에 글을 올려 “앞 좌석 사람이 등받이를 뒤로 젖힐 때 노트북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은 경고 표시를 남겨두거나 이를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좋겠다”고 델타 항공에 제안했다.

더불어 “승무원이 내게 오더니 ‘앞 좌석 승객은 등받이를 뒤로 젖힐 수 있다’고 먼저 말한 뒤에야 괜찮은지 묻더라. 아주 고마웠다”고 비꼬았다.

그러면서 “델타항공의 좌석이 내 생계를 망쳤다”고 했다.

이후 캐시디는 델타항공 측이 자신에게 75달러(약 9만원) 수준의 보상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다만 경고문 제안은 받아들이지 않은 것 같다고 전했다.

그는 “델타항공은 여전히 좌석 등받이에 경고문을 써 놓지 않았다”며 “슬픈 일이다”라고 덧붙였다.

캐시디의 경험담은 최근 SNS를 통해 뒤늦게 퍼졌고, 이는 ‘비행기 예절’ 공방으로 번졌다.

한 네티즌은 “좌석을 뒤로 젖히는 건 무례한 짓”이라며 캐시디의 의견에 공감을 표한 반면, 다른 네티즌은 “앞좌석 등받이가 뒤로 젖혀질 수 있기 때문에 깨질 수 있는 물건을 앞좌석에 기대어 놓지 않는 것이 상식”이라고 반박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