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R코드 찍고 광고 봐야 휴지 ‘찔끔’…‘이곳’ 충격 화장실 SNS 화제

QR코드 찍고 광고 봐야 휴지 ‘찔끔’…‘이곳’ 충격 화장실 SNS 화제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5-09-21 14:46
수정 2025-09-21 14: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중국 공중화장실에서 QR코드를 스캔해 광고를 시청한 후 휴지를 받는 모습. 소셜미디어(SNS) 캡처
중국 공중화장실에서 QR코드를 스캔해 광고를 시청한 후 휴지를 받는 모습. 소셜미디어(SNS) 캡처


중국 공중화장실에서 휴지를 받으려면 QR코드를 스캔해 광고를 봐야 하는 독특한 시스템이 화제가 되고 있다. 당국은 일부 사람들이 무료 휴지를 과도하게 가져가는 것을 막으려는 조치라고 설명했다.

20일(현지시간) CNN-뉴스18에 따르면 중국 공중화장실에서 한 여성이 휴지를 받기 위해 QR코드를 스캔하는 영상이 소셜미디어(SNS)에서 확산하고 있다.

이 장치를 이용하려면 광고를 끝까지 보거나 0.5위안(약 100원)을 내야 휴지를 받을 수 있다. 예전에는 당연히 제공되던 기본 서비스에 번거로운 절차가 도입된 것이다.

관련 당국은 무료 휴지를 필요 이상으로 많이 가져가는 사람들 때문에 생기는 낭비를 막기 위해 이런 방식을 택했다고 설명했다. 결국 화장실 이용자들은 광고를 보거나 돈을 내는 방법 중 하나를 골라야 하는 상황이 됐다.

영상이 온라인에서 화제가 되자 네티즌들은 놀라움과 재미가 뒤섞인 다양한 반응을 쏟아냈다.

한 이용자는 “그래서 중국 갈 때 휴지를 따로 챙겼다. 평소에도 휴지를 들고 다니는 편이라 특별할 건 없었지만, 화장지 한 장 받으려고 QR코드를 찍는 사람들을 보니 정말 신기했다”고 경험담을 털어놨다.

“이거야말로 내가 본 진짜 디스토피아 현실이다”라며 강한 인상을 받았다는 댓글도 나왔다.

일부는 상황을 이해한다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중국 공중화장실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서 일부 사람들이 휴지를 한꺼번에 많이 가져가는 바람에 이런 시스템이 생긴 것”이라는 설명이 달렸다.

중국에서 이런 특이한 시스템이 도입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이미 2017년 베이징의 천단공원에는 얼굴 인식 기술을 활용한 화장지 자동 공급기가 등장했다. 이 역시 과도한 휴지 사용을 제한하려는 목적이었다.

당시 시스템은 1인당 받을 수 있는 휴지 양을 미리 정해뒀다. 추가로 더 받고 싶다면 9분간 기다린 후에야 다시 이용할 수 있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