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보도…정부·인터넷 업체 간 협력 수준 변화 반영
미국 정부가 올해 초 자국 인터넷서비스 업체들에 중국 해커들과 관련된 것으로 의심되는 인터넷 주소 목록을 제공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WSJ에 따르면 올해 2월 미국 국토안보부(DHS)는 중국 군과 연계돼 있다고 지목된 해킹 그룹관련 인터넷주소의 목록을 인터넷서비스업체들에 제공했다.
WSJ가 익명으로 인용한 전·현직 미국 정부 관계자들의 발언에 따르면 이 조치의 목적은 인터넷업체들에 주의를 환기하려는 것이다.
특정 인터넷주소에서 오는 트래픽이 인터넷업체들의 네트워크를 관문으로 삼아 미국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공격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당시 중국 해킹그룹이 미국 회사들의 네트워크에 침입하는 빈도는 일시적으로 줄어들었는데, 미국 정부와 인터넷업체들의 협력도 그 요인 중 하나였다고 WSJ는 설명했다.
이번 조치에 대해 WSJ는 “해킹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미국) 정부와 인터넷업체들 사이의 협력 수준이 상당히 크게 변화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런 협력은 지난해 가을에도 이뤄진 적이 있고 지금도 여전히 계속되고 있으나, 해커들이 침입에 이용하는 인터넷주소를 재빨리 변경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해킹 억제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다는 것이 WSJ의 분석이다.
WSJ는 또 미국 정부가 인터넷업체들에 정보를 제공한 시기가 미국·중국 양국이 상대편에 대해 “해킹을 통해 불법적으로 간첩 활동을 하고 있다”며 비난을 퍼붓던 때였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미국과 중국 사이의 사이버 스파이 공방을 소개했다.
”미국 정부는 최근 수년간 외교적 이유로 중국 해커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는 데 더딘 반응을 보여 왔으나, 올해 들어 기업 기밀유출을 막기 위해 중국에 대해 공개적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고 WSJ는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