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시 ‘경찰 불심검문’ 줄어든 이유놓고 논란

뉴욕시 ‘경찰 불심검문’ 줄어든 이유놓고 논란

입력 2013-08-30 00:00
수정 2013-08-30 04: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검문 덕에 범죄줄어” VS “범죄 감소따른 당연지사”

미국 뉴욕시에서 경찰의 불심검문이 줄어든 것을 놓고 경찰과 시민단체간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검문 덕에 범죄가 줄었다는 경찰측 주장에 맞서 시민·사회 단체들은 범죄가 줄어들자 자연스럽게 검문 필요성이 사라진 것일 뿐이라고 맞섰다.

다만 최근 들어 뉴욕경찰의 불심검문에 대한 비판여론이 높아진데다 법원마저 위헌 결정을 내린 터라 타당성 여부와 관계없이 경찰측 주장이 점차 설 땅을 잃어가고 있는 분위기다.

‘범죄와의 전쟁’을 선포해온 마이클 블룸버그 시장은 최근 기자회견 과정에서 올해 들어 경찰의 불심검문이 크게 줄었다는 통계를 공개했다.

2012년 2분기 13만3천900건에 달했던 불심검문이 올해 2분기에는 5만8천100건으로 무려 57%나 줄었다는 것이다.

블룸버그 시장은 “범죄를 예방하는데 있어 경찰의 불심검문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방증”이라고 주장했다. 범죄가 줄어든 만큼 향후 불심검문도 줄어들 것이라고 예고했다.

뉴욕시 당국이 제시한 통계를 보면 올해 들어 최근까지 뉴욕시의 범죄발생률은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살인은 27%, 총격사건은 26% 줄었다.

이를 근거로 블룸버그 시장과 뉴욕시 당국은 불심검문의 효용성을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반론도 만만치 않다.

뉴욕시민자유연맹(NYCLU)은 불심검문과 범죄가 나란히 줄어든 것은 이들간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다는 의미라고 반박했다. 시 당국의 주장이 맞으려면 ‘검문은 늘고 범죄는 줄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뉴욕경찰측은 법원이나 의회에서 불심검문에 제동을 걸면 다시 범죄가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시민단체측은 “이미 범죄가 줄었기 때문에 검문 필요성도 감소한 것”이라고 맞받아쳤다.

뉴욕시의 불심검문 수는 2011년 정점을 찍고 감소 추세다.

맨해튼 연방지방법원의 시라 셰인들린 판사는 지난 12일 뉴욕경찰의 불심검문 행위에 위헌 결정을 내리고 나서 시 당국에 개선명령을 내렸다.

특히 경찰의 불심검문 관행은 부당한 체포와 수색을 금한 수정헌법에 어긋나며, 흑인과 히스패닉계 주민을 주로 겨냥한다는 점에서 평등권을 침해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불심검문 전면 중단을 명령하지는 않았다. 대신 불심검문이 헌법에 따라 이뤄질 수 있도록 독립 감시관을 두도록 했다.

뉴욕시는 지난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 마약 관련 범죄가 성행하자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불심검문 제도를 도입했다.

연합뉴스

김용호 서울시의원, 용강중학교 인조잔디 운동장 완공식 축사 및 시설점검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27일 용산구 이촌1동 소재 용강중학교 인조잔디 운동장 완공식에 참석, 축사와 함께 시설점검을 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 의원을 비롯해 용강중학교 권충환 교장, 이태승 교감, 최광호 축구부장, 장태우 축구감독, 학교운영위원회 김민영 위원장, 축구부 학생 등 70여명이 참석하여 인조잔디 운동장 완공을 축하했다. 김 의원은 지난 7월 말에도 학교를 직접 방문해 공사 현장 및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하는 등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꾸준히 관심을 기울여왔다. 용강중학교는 오랫동안 학생들의 체육활동 공간 개선을 위해 인조잔디운동장 조성을 숙원사업으로 추진해 왔으며, 학부모와 학교 관계자들의 지속적인 요청과 성원이 이어져 왔다. 김 의원은 인사말에서 “지난 연말 2025년도 서울시 예산 편성 과정에서 6억5천만 원이라는 큰 예산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도 있었지만, 이를 확보한 결과 지난 7월 초 공사를 착공할 수 있었고 오늘 드디어 완공을 보게 되어 감회가 깊다”며 “특히 인조잔디구장 건립을 오랫동안 염원해온 학교 관계자와 학부형들, 일반 학생들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용강중학교 인조잔디 운동장 완공식 축사 및 시설점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