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민주-공화당, ‘힐러리 건강’ 논쟁 점입가경

美 민주-공화당, ‘힐러리 건강’ 논쟁 점입가경

입력 2014-05-19 00:00
수정 2014-05-19 15: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의 유력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건강 문제를 둘러싸고 공화-민주 양당 간 정치 공방이 점입가경이다.

민주당 일각에서 벌써 ‘클린턴 대세론’이 거론되자 공화당이 ‘클린턴 때리기’로 김빼기에 나선 형국이다.

공화당의 이 같은 ‘클린턴 때리기’는 공화당의 ‘선거 책략가’인 칼 로브의 발언 이후 노골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로브는 지난 13일(현지시간) 공개 좌담회에서 클린턴 전 장관이 2012년 뇌진탕 증세로 입원한 것을 놓고 “뇌손상을 겪고 있을지도 모른다”면서 그의 최대 약점인 ‘나이와 건강’ 문제를 건드렸다.

로브의 이 발언은 클린턴 전 장관이 재임하던 2012년 9월11일 이슬람 무장세력이 리비아 벵가지 주재 미국 영사관을 공격한 ‘벵가지 사건’을 거론하면서 나왔다.

클린턴 장관은 그해 12월 의회 청문회에 나올 예정이었으나, 뇌진탕 증세로 출석하지 못하다가 한달여 병원에 입원한 뒤 업무에 복귀, 이듬해 1월에야 청문회에 출석했다. 클린턴 전 장관의 공식 병명은 ‘혈전증’이었다.

로브는 18일에도 폭스뉴스에 출연해 “(클린턴 전 장관은) 2016년 선거 시기에는 69세가 되고, 대통령에 당선되고 연임을 마치면 77세”라고 또다시 클린턴 전 장관의 건강 문제를 거론했다.

다른 공화당 인사도 로브를 거들고 나섰다. 레인스 프리버스 공화당 전국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NBC방송의 시사프로그램 ‘미트 더 프레스’에 나와 클린턴 전 장관이 2016년 대선에 출마한다면 그에게 제기되고 있는 건강 문제에 대해 설명해야 할 것이라며 가세했다. 그는 “나는 의사가 아니다”면서 “하지만, 그 이슈는 대선에 출마한 누구라도 검증돼야 한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부시 정권 당시 심장질환으로 논란을 빚었던 딕 체니 전 부통령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대선 캠페인에서 후보자의 건강 문제가 따라다닐 것이라는데 동의하면서 “누구도 벗어날 수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맞서 민주당의 반격도 만만찮다. 클린턴 전 장관은 정작 로브의 발언과 관련해 언급을 회피하고 있지만, 그의 측근들은 “정치적 공격”으로 규정짓고 있다.

클린턴 전 장관의 남편인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은 로브가 문제의 발언을 한 다음 날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나보다 훨씬 빠르고 겉보기에도 나보다 좋아 보인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2008년 오바마 캠프에서 활약했던 클레어 맥캐스킬(민주·미주리) 상원의원은 공화당의 잇단 ‘클린턴 때리기’에 대해 “싸구려 정략적 언어”라고 폄하했다.

다이앤 파인스타인(민주·캘리포니아) 상원 정보위원장도 “(클린턴은) 현재 정치 인생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다”면서 “그는 스마트하고 훌륭한 리더의 모든 자질을 갖고 있다”고 두둔했다.

이런 가운데 9·11 테러 직후인 2002년부터 12년간 뉴욕시를 이끈 무소속의 마이클 블룸버그 전 시장이 로브의 ‘힐러리 뇌손상’ 발언을 겨냥해 “터무니없는 언어도단이자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CBS 방송의 ‘페이스 더 네이션’(Face the Nation)에 출연, “클린턴 전 장관의 직책에 동의하든 안 하든, 그에게 표를 던지든 안 던지든 상관없이 그는 미국을 위해 헌신했으며 열심히 일했다”고 강조했다.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