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전반 지지율보다 5%P 낮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외교정책 지지율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중국의 위협, 시리아 내전 등 각종 외교 현안에서 성과를 내지 못하는 현실을 반영한 결과다.
오바마 대통령의 국정 전반 운영에 대한 지지율은 46%로, 외교정책 지지율보다 5% 포인트 높았다. WP는 외교정책이 국정 전반 지지율보다 낮게 나온 것을 두고 놀라운 결과라고 평가했다. 같은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7%가 신(新)외교정책, 일명 ‘오바마 독트린’에 대해 찬성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미국 육군사관학교인 웨스트포인트 졸업 연설에서 미국이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전쟁을 끝내고 군사력 사용을 자제하겠다고 밝혔다. 일부 정책에 대한 선호가 외교정책 전반에 대한 지지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WP와 ABC뉴스는 결국 러시아의 크림 합병, 중국의 위협, 시리아 내전,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영토 분쟁 등에서 미국의 목소리가 예전만큼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한 미국인들의 실망감과 염증이 반영된 결과라고 지적했다. 미국인들이 미국을 과거보다 힘이 없고 세계에서 덜 존경받는 나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공화당과 보수진영이 오바마의 외교 정책에 대해 연일 맹공을 쏟아붓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도 그의 정책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옴에 따라 오바마는 자칫 ‘외교 무능 대통령’으로 낙인 찍힐 가능성이 커졌다. WP는 지난 2일 사설에서 오바마 대통령의 외교 정책에 대해 “수십년간 지속해 온 외교정책을 부인하는 가치 없는 정책”이라면서 “시리아 내전 등 해결되지 않는 문제를 외면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4-06-0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