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00 돌파했지만…미국경제 체질은 아직 ‘취약’

17,000 돌파했지만…미국경제 체질은 아직 ‘취약’

입력 2014-07-06 00:00
수정 2014-07-06 11: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좋게 나온 고용지표가 미국 경제의 취약점을 감추고 있다.”

미국 뉴욕증시의 대표 지표인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가 지난 3일(현지시간) ‘전인미답’의 17,000선을 돌파하자 곳곳에서 환호성이 터져 나왔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경제가 불황의 터널을 완전히 벗어났다는 신호가 뚜렷하지 않은 상황에서 섣부른 자축일 수 있다는 우려다.

고용지표가 좋아진 것 외에 다른 분야의 지표는 17,000선 돌파를 뒷받침하거나 설명하기에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대표적인 경제전문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예상 밖으로 잘 나온 고용지표가 ‘착시현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우선 6월 고용동향이 개선되기는 했지만 새 일자리들이 ‘건강하지 않다’는 점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새 일자리가 늘고 있지만 주로 저임금 부문 일자리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지난달 새 일자리는 임금수준이 낮은 소매업과 서비스업에서 각각 4만개, 3만9천개 늘었다. 반면에 임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제조업과 건설 분야에서는 각각 1만6천개, 6천개 증가하는데 그쳤다.

미국의 실업률이 6.1%까지 떨어졌다고는 하지만 취업자와 임금 수준은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직업이 있거나 직업을 찾고 있는 비율은 올해 5월에 이어 6월에도 여전히 62.8%에 머물렀다. 이는 1970년 말 이후 최저 수준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도 66%에 달했다는 것에 견주면 무척 낮은 수준이다. 이는 취업을 포기한 사람들이 늘었다는 의미로 미국 경제 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임금 수준도 만족스럽지 않다.

미국인의 연간 임금상승률은 현재 2% 수준이다. 겨우 물가상승률을 따라잡는 수준이다. 물가를 감안하면 실질 소득이 늘어나지 않았다는 얘기다.

이는 대표적인 소비국가인 미국의 소비자 구매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에 미국의 유가는 갤런당 3달러 후반대까지 치솟아 자동차 왕국인 미국 소비자들의 부담을 키우고 있다.

이미 미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에도 암운이 드리우기 시작했다.

불황과 악천후 등으로 -2.9%까지 떨어졌던 미국의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이 2분기에는 3.5% 안팎까지 회복된다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2분기 성장률마저 속속 하향 조정되고 있다.

JP모건체이스는 2분기 성장률을 기존 3%에서 2.5%로 낮췄고, 경제전문통계·예측회사인 매크로이코노믹스어드바이저는 0.6%포인트 낮은 2.7%로 하향했다.

심지어 한 켠에서는 다우 지수 17,000선 돌파의 주요인인 6월 고용동향이 일시적 현상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당초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는 실업률이 6%대 초반으로 떨어지는 시기를 2014년 말로 예측했다. 그런 점에서 이번 실업률 하락은 일시적 현상이거나, 고용시장이 그만큼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불확실해졌다는 표시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