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이즈미 의회 합동연설 막았던 핼핀

데니스 핼핀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SAIS) 한·미연구소 방문연구원
데니스 핼핀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SAIS) 한·미연구소 방문연구원은 9일(현지시간) 외교안보 전문지 내셔널 인터레스트에 쓴 ‘미국은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에 경악해야 한다’는 제목의 글에서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는 군위안부와 난징대학살로 시작했지만 이는 해리 트루먼 전 미 대통령과 원자폭탄으로 끝난다”며 “일본이 태평양전쟁의 희생국이라면 미국은 침략국이 되고 (진주만 공습을 명령해 태평양전쟁을 일으킨 일본 전범) 도조 히데키가 아니라 트루먼이 전범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이 아시아에서 2차대전의 역사적 유산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논쟁에 관심을 갖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다시 생각해야 한다. 70년 전 끝난 태평양전쟁은 미국의 전쟁이었다”고 강조했다.
핼핀 연구원은 또 “도쿄의 역사 수정주의 논리는 일본이 연합군에 의한 전쟁 피해자라는 전제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며 “유럽과 달리 도쿄의 역사 수정주의자들은 고립된 신(新)나치주의자들에 국한되지 않고 일본 사회에서 존경받는 지도층 인사와 정치인, 언론인들을 포함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런 일본 지도층이 현재 부정하는 태평양전쟁 시기 일본의 범죄행위는 역사를 판단하는 데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한 뒤 “위안부나 난징대학살을 부정하는 일본에 침묵한다면 결국 2차대전 후 국제질서를 만든 모든 근거를 약화시키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핼핀 연구원은 “(버락) 오바마 정부와 미 의회는 일본이 2차대전의 역사적 서술에 대한 통제를 상실함으로써 트루먼이 2차대전의 전범이라는 결정을 하도록 상황을 조성하는 것에 대해 우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핼핀 연구원은 의회 전문위원 출신으로, 2006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일본 총리의 상·하원 합동연설을 막는 데 큰 역할을 한 하원 국제관계위원장의 하원의장 앞 서한 작성에 참여하는 등 일본의 반성을 촉구해 왔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5-03-1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