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에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 문제를 한국과 계속 협의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은 한국을 방어하기 위해 자원들을 투입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앞서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베이징에서 양자 회담을 갖고 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확인했다.
어니스트 대변인은 이에 대해 “우리의 반응은 한국에 대한 방위공약이 바위처럼 견고하다는 것”이라면서 “사드 배치에 대한 한·미 양국의 협의는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한국을 방어하기 위해 군사적 화력과 인력의 상당한 투입이 있었지만 한국에 추가적 자산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게 우리 군과 안보전문가들의 분석”이라며 “이것이 미국이 한국과 사드 배치를 협의하고 있는 이유”라고 밝혔다. 또한 “사드는 북한이 초래하는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지 중국과 러시아가 만들어낸 변화에 따른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은 한국을 방어하기 위해 자원들을 투입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앞서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베이징에서 양자 회담을 갖고 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확인했다.
어니스트 대변인은 이에 대해 “우리의 반응은 한국에 대한 방위공약이 바위처럼 견고하다는 것”이라면서 “사드 배치에 대한 한·미 양국의 협의는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한국을 방어하기 위해 군사적 화력과 인력의 상당한 투입이 있었지만 한국에 추가적 자산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게 우리 군과 안보전문가들의 분석”이라며 “이것이 미국이 한국과 사드 배치를 협의하고 있는 이유”라고 밝혔다. 또한 “사드는 북한이 초래하는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지 중국과 러시아가 만들어낸 변화에 따른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6-05-0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