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애플 色을 바꾸다

위기의 애플 色을 바꾸다

김규환 기자
입력 2016-05-27 23:06
수정 2016-05-28 01: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이폰만으론 안된다

美타임워너 인수 타진
중국판 ‘우버’ 1조 투자
새 성장동력 찾기 혈안

애플이 아이폰에 이은 ‘신화 창조’의 주역을 찾고 있다. 성장 한계설에 직면한 애플이 ‘차량 공유’ 부문에 대규모 투자를 하는 한편 ‘미디어 제국’ 타임워너 인수를 제안하는 등 새로운 ‘성장동력 찾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이다.

26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애플은 미 영화채널 HBO와 CNN, 워너브러더스 등을 휘하에 둔 타임워너에 인수를 제안했다. 에디 큐 애플 수석 부사장이 지난해 말 올라프 올라프슨 타임워너 기업전략 부문 책임자와 만나 이같이 제안했다는 것이다. 그 자리는 애플의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에 향후 타임워너의 케이블 채널 등을 추가하는 등 비즈니스 관계를 논의하기 위한 자리였다. 애플이 타임워너 인수를 제안한 것은 주력 상품인 아이폰의 성장세가 한풀 꺾이면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노력의 하나일 뿐 아니라 자체 콘텐츠를 제공하려는 욕구가 커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 준다고 FT는 분석했다.

애플이 지난 4일 중국판 우버로 불리는 차량 공유 회사 디디추싱(滴滴出行)에 10억 달러(약 1조 1810억원)를 투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애플은 2013~2015년 차량 공유 부문에 50억 달러의 대대적인 투자를 단행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번 투자는 애플의 차량 공유 시장 진출의 시작에 불과하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투자 규모가 애플 제품 중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아이폰의 개발 시기를 웃돌 뿐 아니라 자동차 제조업체 상위 14개사의 연구·개발(R&D) 비용을 합친 것보다 더 많다. 이에 따라 애플의 차량 공유 사업의 2030년 매출액은 4000억 달러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모건스탠리는 내다봤다. 모건스탠리는 “애플이 이 분야에 주요 자동차 메이커보다 많은 지출을 하고 있는 걸 감안하면 애플의 차량 공유 시장 점유율은 최소 16%, 현재의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6-05-28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