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백악관에 들어가면 주한미군 철수 관련 협상을 할 것이다. 김정은이 연락하면 만날 수 있다.”
왈리드 파레스 BAU국제대학 교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왈리드 파레스 BAU국제대학 교수
미국 공화당의 사실상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의 외교자문역 중 한 명인 왈리드 파레스(사진) BAU국제대학 교수는 7일(현지시간) 한인 유권자단체 시민참여센터(KACE)가 워싱턴DC에서 개최한 ‘제3회 한인 풀뿌리 컨퍼런스’에 참석한 뒤 기자와 만나 이렇게 밝혔다. 레바논 출신 중동·테러 전문가로, 2012년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 밋 롬니 외교자문역이었던 파레스는 트럼프에 외교안보 관련 전반적 자문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면 주한미군을 자동 철수하겠다는 것은 아니다”며 “한·미 양국이 상호적으로 안보를 위한 재정적 참여가 필요하고, 이에 대해 한국 정부와 협상을 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주한미군 주둔을 위한 방위비 분담금 협상을 하겠다는 것을 재확인한 것이다. 그는 “한·미 관계는 중요한데 재조정(rearrangement)이 필요하다. 이는 한·미 양국이 상호 비용과 인적 참여를 나눠야 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대화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파레스는 “중국을 통해 북한에 압력을 가하겠다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며 “그러나 김정은이 먼저 연락이 오면 안 만날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그는 대북 제재와 김정은과의 회동은 모순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 “한반도 등에 대한 정책은 트럼프가 백악관에 들어가면 밝힐 것이다. 그 전에 의회와 정부, 한국 측과의 협의를 거치게 될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또 “당신 이외에 트럼프에게 아시아 관련 외교 자문을 누가 하느냐”는 질문에 “여러 명 있다. 누구인지, 몇 명인지는 밝히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트럼프가 그들에게 연락을 하는 게 아니라 그들(전문가)이 트럼프에게 연락을 한다는 것은 말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10월 트럼프 유세장에서 그의 ‘안보무임승차론’을 비판했던 하버드대생 한인2세 조셉 최는 이날 파레스에게 “트럼프의 공약이 문제가 많은데 그를 왜 지지하느냐. 반대하는 공약은 없느냐”고 질문했으며, 파레스는 “내가 선택한 것이고 그에 대한 평가는 나중에 회고록에 남기겠다“며 답변을 회피했다. 조셉 최는 행사 후 기자와 만나 “파레스의 답변에 실망했다”며 “차세대 한인들은 트럼프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