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착취’ 논란 아마존, 최저임금 15달러로 인상

‘노동 착취’ 논란 아마존, 최저임금 15달러로 인상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8-10-03 21:22
수정 2018-10-04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CEO만 배 불려” 샌더스 비판 이후 조치…새달부터 미국 내 임시직 등 35만명 혜택

‘노동 착취’ 논란에 휩싸였던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이 다음달 1일부터 미국 내 시간당 최저임금을 15달러(약 1만 6800원)로 인상한다. 시가총액이 1조 달러에 육박한 세계 2위 기업이 ‘최고경영자(CEO)의 배만 불린다’는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 등의 비판을 의식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미지 확대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 CEO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 CEO
아마존 창업자인 제프 베조스 CEO는 2일(현지시간) “우리는 비판의 목소리를 경청하기로 결정했다”며 “우리 경쟁자들도 (임금 인상에) 동참하기를 권한다”고 말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했다.

아마존 직원의 최저임금은 그동안 근무지에 따라 11~12달러 수준이었다. 네브래스카주 오마하 창고에서 일하는 정규직은 시간당 최저임금이 12.25달러, 위스콘신주 매디슨은 11달러다. 이번 조치로 미국 내 정규직 25만명과 임시직 10만명이 혜택을 보게 됐다.

베조스의 재산은 지난 7월 1500억 달러(약 168조원)를 돌파해 세계 1위 부자로 등극했다. 그러나 전 세계 아마존에서 일하는 직원들의 소득은 열악한 작업 환경에도 불구하고 형편없다는 비판이 쇄도했다. WSJ가 지난 4월 평가한 아마존 직원의 중위 임금(전체 근로자를 급여 순으로 나열했을 때 중간값)은 연 2만 8446달러였다. 이는 S&P500지수를 구성하는 미국 기업 379개사의 평균인 6만 9205달러에 훨씬 못 미친다.

샌더스 의원은 지난 5일 베조스 CEO를 겨냥해 500명 이상 직원을 보유한 기업의 근로자가 생계를 위해 정부 복지 혜택을 받는 경우 그 금액에 상응하는 세금을 부과하는 내용의 ‘지원금 삭감으로 나쁜 고용주를 저지하는 법’(일명 베조스 저지법)을 발의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8-10-0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