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망받던 산악인 셋, 캐나다 밴프 산사태 실종 닷새 만에 주검으로

촉망받던 산악인 셋, 캐나다 밴프 산사태 실종 닷새 만에 주검으로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4-22 18:22
수정 2019-04-22 18: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AFP 자료사진
AFP 자료사진
지난 17일(이하 현지시간) 캐나다 로키의 밴프 국립공원에서 일어난 산사태로 실종됐던 전문 산악인 셋이 21일 숨진 채 발견됐다고 영국 BBC가 전했다.

데이비드 라마(28)와 한스요르그 아우어(35·이상 오스트리아), 제스 로스켈리(36·미국)는 하우즈 피크의 동사면(이스트 페이스)를 등반하려 했지만 산사태에 휩쓸렸다. 숨졌을 것으로 추정됐지만 악천후 탓에 주검조차 수습하지 못하다 이날에야 겨우 수습됐다. 캐나다 당국은 공중에서 접근하던 구조대가 이들의 주검이 발견된 곳에 “여러 차례 산사태가 일어난 흔적”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숨진 이들은 글로벌 의류 브랜드 노스페이스의 후원을 받아 조직된 ‘글로벌 애슬레트’ 팀의 일원이었다.

이들은 전에 딱 한 번 등정에 성공했던 ‘M16’이란 루트를 택해 오르고 있었으며 모두 등반계에서 촉망받던 산악인들이었다. 라마는 파타고니아 남쪽 세로토레의 콤프레서 루트를 처음으로 자유 등반했던 듀오 가운데 한 명이었으며, 아우어는 최근 파키스탄 카라코람의 룹가르 사르 서봉(해발 고도 7181m)을 단독 등반하는 데 성공했다. 2003년 로스켈리는 스무살 나이에 에베레스트를 올라 미국인 최연소 등정 기록을 작성했으며 아버지 존 역시 1970년대 하우즈 피크를 다른 루트로 발 아래 뒀던 산악인이다.
안타깝게도 로스켈리는 지난주 현지 일간 스포크스맨-리뷰와의 인터뷰를 통해 “적당한 여건을 만나지 못하면 한 순간에 악몽으로 바뀔 수 있는 그런 루트 가운데 하나일 뿐”이라고 털어놓았다. 마치 비명에 스러질 것을 예감하고 있었던 듯하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