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연방법원 개원 200년만에 첫 女법원장…히스패닉계 전임 ‘배려’ 돋보여

시카고 연방법원 개원 200년만에 첫 女법원장…히스패닉계 전임 ‘배려’ 돋보여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19-07-02 11:36
수정 2019-07-02 11: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레베카 펄마이어(왼쪽) 시카고 연방법원 신임 법원장과 루벤 카스티요 전 법원장 위키피디아
레베카 펄마이어(왼쪽) 시카고 연방법원 신임 법원장과 루벤 카스티요 전 법원장 위키피디아
미국 시카고에 있는 미 연방법원 일리노이 북부지원(시카고 연방법원)에서 개원 200년만에 처음으로 여성 수장이 탄생했다. 히스패닉계 첫 법원장이었던 전 법원장이 1년 일찍 퇴임한 덕분이다.

시카고 현지 언론은 1일(현지시간) 시카고 연방법원에 28년간 재직한 레베카 펄마이어(64) 판사가 이날 신임 법원장에 취임했다고 전했다. 펄마이어 신임 법원장은 “영광스럽다”면서 “주어진 임기 동안 법원장의 역할을 잘 해내고 싶다”고 말했다. 미 연방 지방 법원장의 임기는 7년이지만 만 70세를 넘길 수 없기 때문에 펄마이어의 임기는 오는 2025년까지다.

펄마이어는 전임 루벤 카스티요(64) 판사가 법원장 자리에서 1년 일찍 물러나며 최초의 시카고 연방법원 여성 법원장 타이틀을 달게 됐다. 2013년 7월 히스패닉계 최초로 수장이 됐던 카스티요 전 법원장의 임기는 원래 내년 7월까지지만 법원장 취임 조건이 만 65세 미만이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 펄마이어를 위해 1년 일찍 자리를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카스티요 전 법원장은 “시카고 연방법원 200년 역사에 여성 수장이 단 1명도 없었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면서 “내가 무언가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펄마이어는 일본 도쿄 출생으로 인디애나 주 발파라이소대학을 거쳐 시카고대학 법대를 졸업했다. 1991년부터 7년간 시카고 연방법원 예심 판사로 일했으며 1997년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의 지명을 받아 이듬해 종신직 연방 판사에 올랐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