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첫 美 노조 설립 무산… “사측이 불법활동으로 방해”

아마존 첫 美 노조 설립 무산… “사측이 불법활동으로 방해”

김정화 기자
입력 2021-04-11 18:00
수정 2021-04-12 06: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앨라배마 직원 투표서 반대가 과반
베이조스 ‘무노조 경영’ 원칙 유지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 서울신문DB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 서울신문DB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의 미국 직원들이 추진한 노동조합 설립 시도가 결국 무산됐다. 이번 움직임은 그간 ‘무노조’를 고수한 제프 베이조스 최고경영자의 경영 원칙을 바꾸고 다른 사업장과 기업들에도 영향을 미칠 거라는 점에서 큰 관심이 쏠렸지만, 결국 직원들의 표는 노조 반대로 기울었다.

CNN 등은 지난 9일(현지시간) 미 앨라배마주 베서머의 아마존 창고 직원들이 실시한 노조 결성 찬반 투표 결과 노조 결성에 반대하는 표가 과반인 1798표였다고 보도했다. 찬성은 738표에 그쳤다. 소매·도매·백화점노동자조합(RWDSU) 가입 여부를 묻는 이번 투표는 거의 6000명에게 투표 자격이 주어져 총투표수는 3215표였다.

유럽의 일부 아마존 직원들은 노조를 만들었지만, 베서머 창고 노조는 지금까지 미국의 아마존 사업장에서 이뤄진 가장 큰 규모의 노조 조직화 시도였다. 베이조스는 아마존 창업 뒤 25년 이상 미국 내 무노조 원칙을 주장해 왔는데 지난해부터 코로나19 관련 안전 예방조치, 전반적인 근무 환경 개선 등을 이유로 노조 설립 움직임에 힘이 실렸다.

하지만 아마존이 직원들을 의무적으로 반노조 회의에 참석하도록 하고 관련 문자메시지를 계속 보내는 등 압박하자 결국 여론은 노조 반대로 간 것으로 보인다. 이를 놓고 RWDSU와 노조 결성을 추진한 쪽은 투표 과정에서 사측이 거짓말과 속임수, 불법 활동을 벌였다며 이를 미 노동관계위원회에 고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아마존의 잘못된 사업 및 노동 관행에 더 강하게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했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2021-04-1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