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피 묻히고 죽은 척했어요” 11살 증언, 총기규제 움직였다

“친구 피 묻히고 죽은 척했어요” 11살 증언, 총기규제 움직였다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22-06-09 22:26
수정 2022-06-10 02: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하원 ‘아이들 보호법’ 통과

“총과 돈이 아이들보다 중한가”
생존자·유족들 ‘눈물의 청문회’
구매 연령 상한·신원 조회 강화

5년간 100여건 발의… 통과는 0
상원서 공화 벽 넘기는 힘들 듯
화상 속 소녀의 외침
화상 속 소녀의 외침 미국 텍사스주 초등학교 총기 난사사건의 생존자인 미아 세릴로(TV 화면)가 8일(현지시간) 미국 하원 정부감독개혁위원회에서 열린 청문회에 화상으로 참여해 증언하고 있다. 하원은 이날 총기 규제 강화 법안을 가결했다.
워싱턴DC EPA 연합뉴스
텍사스 유밸디 롭 초등학교 4학년 미아 세릴로는 담담하게 지난달 24일(현지시간)을 떠올렸다. “그 사람이 다시 교실로 올 것 같았어요. 옆에 있던 죽은 친구 피를 온몸에 문지른 다음 가만히 죽은 척했어요.”

18세 소년이 초등학교에서 소총을 난사해 19명의 어린이와 2명의 교사를 숨지게 한 사건의 생존자와 희생자 유족이 8일 미국 하원 총기 난사사건 청문회에서 증언에 나섰다. 울음을 참으며 기꺼이 스스로 상처를 헤집은 이들은 총기 규제 강화법 통과를 호소했다.

미리 녹화된 영상 속에서 미아는 ‘학교가 안전하다고 느끼느냐’는 질문에 고개를 저은 후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날 청문회에 출석한 미아의 아버지 미구엘 세릴로는 연신 눈물을 훔치며 “나 역시 어린 딸을 잃을 수도 있었기에 이 자리에 왔다. 뭔가 바뀌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딸 렉시(10)를 잃은 엄마 킴벌리 루비오는 “사건 당일 렉시가 훌륭한 시민상을 받고 기념사진을 찍었는데 그게 인생 마지막 사진이 됐다. 아이스크림을 사준다고 약속하고 학교를 떠났는데 그 결정이 평생 나를 괴롭힐 것 같다”며 울먹였다. 루비오는 “총이 아이들보다 중요하다고 말하는 정치인들에게 돈 대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안다. 우리는 진전을 요구한다. 공격용 소총과 대용량 탄창 사용을 금지시켜 달라”고 촉구했다.
이미지 확대
눈물의 청문회가 끝난 후 하원은 이른바 ‘아이들 보호법’을 찬성 223표 대 반대 204표로 통과시켰다. 더힐에 따르면 이 법안은 반자동 소총을 구매할 수 있는 연령을 기존 18세에서 21세로 높이고, 15발 이상의 총알이 들어가는 대용량 탄창 판매를 금지하는 내용이다. 일련번호 없이 조립된 유령총기에 대해 신원조회를 도입하고 반자동 소총을 자동소총으로 만들어 주는 장치인 ‘범프스톡’ 사용도 금지했다. 미성년자가 있는 가정은 총기 보관을 더 엄격히 하도록 한 내용도 담겼다. 총기 구입 시 신원조회를 강화하는 법안은 과거에도 있었지만 이번처럼 7개 조항을 무더기로 수정하는 법안이 상정된 것은 처음이다.

아이들 보호법이 시행되려면 총기 규제에 반대하는 공화당 상원의 벽을 넘어야 한다. 상원은 민주당(친여권 무소속 2명 포함)과 공화당이 50석씩 차지하고 있다. 법이 통과되려면 민주당 의원 전원이 찬성하고 최소 10명의 공화당 의원 지지를 받아야 한다. 그럴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게 현지 언론의 평가다.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끔찍한 총기 난사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총기 규제를 강화하자는 여론이 들끓었지만 의회 문턱을 넘은 적은 없다. 미 CBS에 따르면 2011년 이후 5년간 발의된 총기 규제 법안만 100건이 넘는다. 26명이 숨진 2012년 코네티컷주 샌디훅 초등학교 총기 난사사건 때도 인터넷 총기 구매자의 신원 확인을 강화하는 법안이 발의됐지만 상원에서 4표 모자란 56표를 얻는 데 그쳐 좌절됐다. 2016년 6월에도 50명이 숨진 올랜도 나이트클럽 총기 난사사건 직후 상원에 총기 규제 강화 법안이 4건 상정됐지만 모두 부결됐다.
2022-06-1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