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교편 미 교사 “교실 한복판에 빈 의자. 그 이유는”

50년 교편 미 교사 “교실 한복판에 빈 의자. 그 이유는”

임병선 기자
입력 2022-06-14 17:37
수정 2022-06-14 17: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댄 길 제공 USA 투데이 홈페이지 캡처
댄 길 제공
USA 투데이 홈페이지 캡처
난 미국 뉴저지주 몽클레어란 도시에 있는 글렌필드 중학교의 교사 댄 길(75)이라고 합니다. 제 교실 한복판에는 항상 빈 의자 하나가 놓여 있어요. 제가 교편을 잡은 50년 내내 이렇게 해오고 있답니다.

잠시 비워둔 의자는 아니고요, 장학사들이나 수업 참관인을 위한 의자도 아니에요. 이 빈 의자는 그저 누군가를 떠오르게 하는 장치일 뿐이에요. 저 자신과 학생들이 누군가를 연상하게 만드는 장치에요.

13일(현지시간) 일간 USA 투데이에 제가 털어놓은 얘기에요. 매년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생일 무렵 미국의 민권운동에 대해 수업을 하거든요. 그때마다 내게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을 학생들이 조금 더 친근하게 연결하게 만들게 하고 싶어 이렇게 해요.

내가 아홉 살 때였어요. 뉴욕의 한 아파트 건물에 살고 있었는데 가장 친한 친구 아치와 함께 한 친구의 생일 파티에 초대돼 갔어요. 선물을 든 채 둘이 초인종을 눌렀는데, 난 백인, 아치는 흑인이었어요. 그 친구의 어머니는 아치를 보더니 앉을 의자가 없다고 말씀하셨어요. 난 혼란스러웠어요. 바닥에 앉아도 되고, 의자를 더 가져오면 되지 않겠느냐고 말씀드렸어요. 그런데 그 어머니는 의자가 없다는 말만 되풀이 하셨어요. 결국 흑인이란 이유로 아치가 환영받지 못하는 것이란 사실을 깨닫게 됐어요. 저희 둘은 울면서 그 집을 나와야 했어요.

60년 동안 그날 일은 제 마음 속에 남아 있었어요. 당시는 몰랐는데 아치와의 생일 파티 경험은 오늘의 날 만들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아요. 뉴욕에서 몽클레어로 이사 와 교사가 됐고 과거 몽클레어 공립학교를 글렌필드 중학교로 바꿔 이제 예술 분야의 우수학교로 키워냈지요. 흑인과 백인이 어울려 공부하는 학교교육으로 다른 학교의 모범을 만들었지요.

물론 할 일은 더 있답니다. 아이들은 상징적인 것들을 곧잘 소화해내요. 자신들이 더 낫게, 학문적으로나 사교성으로나 감정적으로나 더 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환영받는 느낌을 갖게 하거나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 수 있음을 상기시키는 것이지요.

아이들은 누군가 교실을 찾아오면 “우리가 왜 의자를 뒀는지 아세요?”라고 묻고는 “그것은 저희가 마음에 간직한 것”이라고 말해요.

2022~23 학년이 마무리되면 난 은퇴해 인생 2막을 펼쳐야 하는데 빈 의자가 던지는 메시지를 몽클레어 밖으로 퍼뜨렸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도서 축제 기간에 난 지난해 먼저 세상을 떠난 아치에게 헌정하는 책 ‘No More Chairs’를 출품했어요. 저희 둘은 몇십년 전에 연락이 끊겼는데 제가 그의 친척을 소셜미디어에서 찾아내 다시 연결됐어요.

난 이 책을 보고 다른 선생님들이 교실에 빈 의자를 계속 놔두게 했으면 좋겠어요. 내 가장 거친 꿈 가운데 하나는 어떻게 하면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는지, 어떻게 하면 다른 사람을 더 낫게 대할 수 있는지 아이들이 느꼈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그들의 반에서 정책을 결정할 훌륭한 어른이 나왔으면 하고 바랍니다. 그뿐이에요.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