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장쩌민 사망설 진실은?

中 장쩌민 사망설 진실은?

입력 2014-09-10 00:00
수정 2014-09-10 0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문 확산속 인터넷 검색 금지령

장쩌민(江澤民·88) 전 중국 국가주석이 최근 ‘긴급 입원설’에 이어 ‘사망설’에 휩싸였다. 그의 사망설은 중추절(중국 추석) 연휴가 시작된 지난 6일 홍콩 신보(信報)의 인터넷 기사를 출처로 흘러나온 뒤 중국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신보는 당일 저녁 “그런 보도를 한 적이 없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으나 소문은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있다.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에서는 9일 오후 현재까지도 ‘장쩌민’이나 ‘두꺼비’(장쩌민의 별명)를 입력할 경우 “관련 법에 의해 검색을 금지한다”며 그에 대한 언급을 원천 봉쇄하고 있다.

장 전 주석이 고령인 데다 지병인 방광암으로 베이징 시내 병원에서 투병 중이었다는 점에서 그의 사망설은 설득력을 얻고 있다. 도쿄신문은 지난 8월 말 장 전 주석이 자신의 심복이던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에 대해 당의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는 소식을 접한 뒤 정신적으로 큰 충격을 받아 건강이 급속히 악화됐다고 전한 바 있다.

중국사회과학원 출신인 역사학자 장리판(章立凡)은 “장 전 주석이 사망하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권력이 한층 더 공고해진다는 점에서 그의 사망설은 겉으로는 부패 척결을 내세우며 이뤄지는 당내 권력투쟁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계파 이익을 우려해 시 주석의 반부패 드라이브에 제동을 걸었던 것으로 전해지는 장 전 주석이 사망할 경우 시 주석은 당내 고위층과 장 전 주석의 상하이방 제거에 더욱 속도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처음 듣는 얘기여서 확인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장 전 주석은 예전에도 여러 차례 와병설이 돌았으며 2011년에는 사망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4-09-1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