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함대, 남중국해 파견된 美핵항모 포위

中함대, 남중국해 파견된 美핵항모 포위

김규환 기자
입력 2016-03-07 22:50
수정 2016-03-07 23: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中, 美항모 맴돌며 한때 무력시위… 美 지휘관 “한번도 없었던 일”

남중국해 분쟁 수역에서 군사 작전을 펴던 미국 핵추진 항공모함 존 C 스테니스(CVN74)호가 한때 중국 함대에 의해 ‘포위’돼 긴장이 고조되는 이례적인 상황이 벌어졌다.

이미지 확대
미국 핵추진 항공모함 존 C 스테니스(CVN74)호
미국 핵추진 항공모함 존 C 스테니스(CVN74)호
7일 미 해군사이트, 중국 환구시보 등에 따르면 스테니스 항모 전단이 지난 1일(현지시간) 필리핀 인근 루손해협에 도착해 나흘간 남중국해의 동부 해역에서 작전 활동을 전개했다. 이 과정에서 중국 함대가 미군 항모 전단을 포위해 주위를 맴돌며 감시작전을 진행했다고 지난 5일 미해군이 전했다. 중국 함대가 한때 미국 항공모함을 포위해 대치하면서 무력시위를 벌였다는 것이다.

●“군사적 충돌 상황은 아니었다”

스테니스호 항모 전단 지휘관인 그레고리 호프만 사령관은 “중국 함대가 항모전단 주변을 에워쌌다”며 “(미 항모 전단이) 이렇게 포위된 적은 이전에 한번도 없던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우리는 통신 채널을 통해 우호적인 교류를 진행했다”며 “군사적 충돌 분위기가 조성된 상황은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장쥔서(張軍社) 중국 해군 군사학술연구소 연구원은 “중국 해군이 미군을 상대로 벌인 (포위 및 감시) 관련 작전들은 정상적인 범주 내 국제법에 부합되는 작전”이라고 주장했다.

●中 “국제법에 부합되는 정상적 작전”

미국의 이번 작전은 중국의 남중국해 군사화 움직임에 대응하는 성격을 띠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중국이 올해 국방예산 등을 공식 발표한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개막을 앞두고 이뤄진 스테니스 항모전단의 파견이 중국에 대한 경고의 의미를 담고 있다는 분석이다. 미군 당국은 앞서 2척의 유도미사일 순양함(모바일 베이, 앤티탬)과 2척의 유도미사일 구축함(정훈, 스톡데일), 미 7함대 기함(블루리지) 등 5척으로 구성된 스테니스 항모전단이 남중국해 수역에 도착하는 대로 작전 활동을 벌인다고 밝힌 바 있다. 스테니스호는 배수량 10만 3000t의 미 해군의 7번째 니미츠급 항모로 슈퍼호넷 전투기 등 항공기 80여대를 탑재하고 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6-03-0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