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쓰촨대지진 성금 11조원 중 80%는 “어디에 쓰였는지 모른다”

中 쓰촨대지진 성금 11조원 중 80%는 “어디에 쓰였는지 모른다”

이유미 기자
입력 2016-05-13 15:09
수정 2016-05-13 15: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쓰촨성 정부, 8년째 사용처 공개 안하고 있어




이미지 확대
 부서진 아파트
부서진 아파트 쓰촨성 대지진 발생 후 이틀 뒤인 2008년 5월 14일 피해지역 주민이 종이 상자처럼 부서진 아파트 옆에서 망연자실한 표정으로 서 있다.
몐주 AP 특약



중국 쓰촨(四川)성 대지진 구호를 위해 모인 천문학적 규모의 성금 대부분이 어디에 쓰였는지 용처가 불분명하다는 현지 언론 보도가 나왔다. 당시 구호 성금으로 현찰로만 11조원이 넘는 돈이 모였다. 하지만 현재까지 사용처가 밝혀진 금액은 3조원이 채 되지 않는다.

중국 재경망(財經網)은 2008년 5월 12일 대지진 발생 이후 전국 각지에서 모금된 성금 652억 위안(약 11조 6060억원) 가운데 사용처가 공개된 성금은 23.1%인 151억 위안에 불과하다고 13일 보도했다. 나머지 76.9%(501억 위안)는 8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어디에 쓰였는지가 공개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에서는 9만명에 가까운 희생자를 낸 쓰촨성 원촨(汶川) 대지진(2008년 5월 12일)이 발생하자 각계의 지원이 쏟아져 652억 위안의 현금과 110억 위안 상당의 구호물자를 모은 바 있다.

현금으로 들어온 652억 위안은 1996년부터 2007년까지 11년간 중국에서 모은 자선기금 누적총액(557억 위안)보다도 큰 액수다.

지진 발생지역인 쓰촨성 정부는 201억여 위안의 성금을 모은 뒤 이 가운데 절반도 안 되는 95억 8300만 위안의 사용처만을 공개했다.

중국 홍십자회(적십자사)의 경우도 199억 위안을 모금했으나 43억여 위안의 용처만을 공개했다.

그나마 사용명세를 세부적으로 공개한 자선단체는 10억 8000여만 위안을 모금한 중화자선총공회가 유일했다고 이 매체는 지적했다.

재경망은 또 텅쉰(騰訊·텐센트), 타오바오(淘寶) 등 각종 사이트도 자체적인 모금활동을 벌였으나 이들은 당시 모금 주체의 자격을 부여받지 못한 상태였다고 지적했다.

재경망은 사용처가 공개된 성금액을 합산하면 151억 위안에 불과하다며 나머지는 어디에 쓰였는지 알 길이 없다고 비판했다.

이 매체는 성금 관리과정에서 상당한 문제점이 노출됐다고 지적한 뒤 “종적을 알 길이 없는 거액의 성금에 대해 대중들은 알 권리가 있다”며 성금 용처에 대한 투명한 공개를 촉구했다.
이어 “돈이 제대로 쓰였는지를 확인한 뒤에야 비로소 대중들이 안심하고 구호의 손길을 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