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수교의 주역으로 꼽히는 첸치천(錢其琛) 전 중국 부총리가 지난 9일 베이징에서 지병으로 사망했다. 89세.
첸치천(錢其琛) 전 중국 부총리. A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첸치천(錢其琛) 전 중국 부총리. AP 연합뉴스
11일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첸 전 부총리는 외교부장이던 1992년 4월 베이징에서 이상옥 당시 외무장관과 만나 한·중 수교 교섭에 착수했으며 같은 해 8월 수교문서에 공식 서명했다. 첸 전 부총리는 한·중 수교 한 달 전 북한을 방문해 김일성 주석에게 한·중 수교를 알리는 장쩌민(江澤民) 당시 국가주석의 구두 친서를 전달했다가 냉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1928년 상하이에서 태어난 첸 전 부총리는 1942년 중국공산당에 가입했다. 1945년 상하이 대공보에서 근무하면서 지하당 활동을 했다. 첸 전 부총리는 1955년 구소련 주재 대사관에서 외교관 생활을 시작한 뒤 1966년 문화대혁명 기간 하방됐다가 1972년 복권됐다. 첸 전 부총리는 1988년 외교부장으로 승진한 뒤 1989년 톈안먼 사태 유혈 진압 여파로 중국이 외교적 고립 위기에 처했을 때 이를 타개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첸 전 부총리는 장 전 주석이 집권한 1993∼2003년 외교담당 부총리를 맡아 외교 사령탑 역할을 했으며 1997년 홍콩의 주권 반환과 1999년 마카오의 반환 작업 등을 주도했다. 홍콩 내 친(親)중국파는 물론 홍콩의 자치와 민주주의를 중시하는 범민주파로부터도 합리적이고 일관성 있는 지도자라는 호평을 받았다.
그는 한·중 수교 이듬해 부총리로 승진한 뒤 1998년까지 외교부장을 겸임했으며 2003년 노무현 전 대통령 취임식에도 참석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이날 왕이(王毅) 외교부장 앞으로 조전을 발송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7-05-1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