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민심 지표’ 돼지고기값 일주일 새 13% 급등

‘中민심 지표’ 돼지고기값 일주일 새 13% 급등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2-07-03 20:38
수정 2022-07-04 06: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크라 전쟁 여파 사료가격 올라
전 세계 식품물가 상승 자극 우려

이미지 확대
다른 나라에 비해 소비자 물가가 안정적인 중국에서도 ‘민심의 바로미터’로 불리는 돼지고기 가격이 급등해 인플레이션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세계 최대 돼지고기 소비국인 중국에서 돈육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면 중국뿐 아니라 전 세계 식품 물가 상승을 자극할 수 있다.

3일 중국농업농촌부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전국 농산물도매시장의 돼지고기 평균 가격은 ㎏당 24.55위안(약 4750원)으로 일주일 새 13% 뛰었다. 지난 5월 중순만 해도 줄곧 ㎏당 21위안대를 유지했지만 지난달 27일 22위안, 29일 23위안으로 계속 상승하고 있다. 산지 출하 가격도 지난달 22일 17위안을 넘어서더니 이달 1일에는 일주일 전보다 15% 넘게 오른 20.53위안을 기록했다.

중국 인터넷 매체 펑파이는 “우크라이나 전쟁 등 여파로 곡물 가격이 크게 오르자 양돈 농가들이 사료 구입에 부담을 느껴 키우던 돼지를 처분해 전체 사육 마릿수가 줄었다. 이런 상황에서 코로나19 봉쇄 완화로 소비가 늘어 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인에게 돼지고기는 한국인에게 김치와 같은 필수품이다. 대부분의 요리에 기본 재료로 쓰이다 보니 돈육 가격은 다른 식품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친다. 2018년 아프리카돼지열병(ASF)으로 중국에서 키우던 돼지 절반가량이 살처분돼 이듬해 돈육 가격이 폭등했고 중국 공산당에 대한 민심도 크게 나빠졌다.



2022-07-0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