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뼈가 없다고 온갖 욕을…” 구순구개열 中 여대생 ‘악플’에 눈물 호소

“코뼈가 없다고 온갖 욕을…” 구순구개열 中 여대생 ‘악플’에 눈물 호소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5-05-12 22:00
수정 2025-05-12 2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中 여대생, SNS에 영상 올려 “악플 멈춰달라”
“‘다름’이 무기 될 수 없어…우월감 과시 그만”

이미지 확대
선천성 구순구개열로 코뼈 결손이 있는 중국의 한 여대생이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영상을 통해 “악플을 멈춰달라”고 호소했다. 자료 : 홍싱신문·텐센트 뉴스
선천성 구순구개열로 코뼈 결손이 있는 중국의 한 여대생이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영상을 통해 “악플을 멈춰달라”고 호소했다. 자료 : 홍싱신문·텐센트 뉴스


얼굴에 생기는 흔한 선천성 기형인 ‘구순구개열’을 가지고 태어난 중국의 한 여대생이 소셜미디어(SNS)에서 자신을 향한 ‘악플’ 등 괴롭힘을 멈춰달라고 호소했다. 코뼈 결손으로 코가 납작한 이 여대생은 남들과 다른 외모로 인해 어린 시절부터 온갖 괴롭힘에 노출돼왔다며 “괴롭힘을 통해 우월감을 느끼려 하지 말라”고 일침했다.

12일 홍싱신문 등 중국 언론에 따르면 중국 후난성에 사는 한 여대생 A씨는 최근 “SNS를 통해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욕설을 듣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A씨는 SNS에 올린 동영상을 통해 “나는 성장하는 과정에서 듣기 싫은 설명을 수도 없이 얻었고, 셀 수 없이 불공평한 일을 겪었다”며 “또 말도 안 되는 악의적인 괴롭힘을 당해왔다”고 입을 열었다.

A씨는 떨리는 목소리로 “인터넷에서 당신의 말 한마디가 무엇도 바꾸지 못할 수 있지만, 마음이 취약한 상태에 있는 사람에게는 큰 충격으로 다가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어릴 때부터 듣기 싫은 별명…SNS로 욕설”이어 “제발 다른 사람의 외모를 공격하며 ‘정상인’으로서의 자신의 우월감을 과시하려는 행동을 멈춰달라”면서 “나는 코가 당신들과 다를 뿐 그 외에는 당신들과 다를 바가 없다”고 일침했다.

A씨는 “사람들의 인식이 저마다 다른 건 이해하지만, 그게 다른 사람을 공격하는 무기가 될 수 없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미지 확대
선천성 구순구개열로 코뼈 결손이 있는 중국의 한 여대생이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영상을 통해 “악플을 멈춰달라”고 호소했다. 자료 : 홍싱신문·텐센트 뉴스
선천성 구순구개열로 코뼈 결손이 있는 중국의 한 여대생이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영상을 통해 “악플을 멈춰달라”고 호소했다. 자료 : 홍싱신문·텐센트 뉴스


A씨는 평소 여느 여대생과 다를 바 없이 자신의 SNS를 통해 ‘셀카’와 일상 사진, 영상 등을 공유해왔다. 그러나 네티즌들로부터 익명의 ‘악플 공격’에 시달리다 이에 대해 목소리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어머니께서 나를 임신하셨을 때 복용한 약의 부작용으로 코뼈가 기형인 채로 태어났다”면서 “2세가 되기 전 수술을 받아 지금은 건강하다”고 설명했다.

구순구개열은 입술이나 잇몸 또는 입 천장이 갈라진 채 태어나는 선천적 기형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약 650명에서 1000명당 한 명꼴로 나타나는 흔한 증상이다. 입술이 갈라져있는 경우를 구순열, 목젖 및 입 천장이 갈라지는 경우를 구개열이라고 한다.

입술이나 잇몸, 입천장이 갈라져있는 것 뿐 아니라 근육과 연골, 뼈에 이르는 총체적인 안면 변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확실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현재까지 알려진 환경적 원인으로는 유전 및 가족력, 임신 초기 약물 복용 등이 꼽힌다. 영유아기에 수술을 시작해 성장 과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수술 및 교정을 통해 완치가 가능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