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리스틴 라가르드 신임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ECB의 통화정책 기조를 둘러싸고 독일과 신경전을 벌였다. 사진은 지난달 28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신임 ECB 총재로 선출된 크리스틴 라가르드(왼쪽)가 마리오 드라기 전 ECB 총재와 손잡고 환담하는 모습. 프랑크푸르트 AP 연합뉴스
라가르드 총재는 6일(현지시간) 독일 디차이트와의 인터뷰에서 독일을 겨냥해 “독일도 중요하지만 유로존 19개국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다”며 “독일은 경제 규모가 크긴 하지만 모든 사람들은 (ECB 정책에) 동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독일과 네덜란드 등 유럽 북부의 부유 국가들은 ‘비둘기파’ 마리오 드라기 전임 총재가 취했던 부양 정책에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어왔다.
그는 “나는 비둘기나 매가 아닌 부엉이가 되고 싶다. 부엉이는 매우 현명한 동물”이라고 밝혔다. 이는 자신에게 통화정책의 주요 인사들 정책의 강경 여부에 따라 비둘기파 혹은 매파라는 꼬리표가 붙는 것을 경계하려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현재 유럽 각국은 라가르드 총재가 통화정책을 어떤 방향으로 설정할지 주목하고 있다.
앞서 지난 9월 드라기 전 총재가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마이너스 예금금리를 더 낮추는 금리 인하를 발표하며 2조 6000억 유로(약 3338조원) 규모의 양적완화 프로그램 재개를 예고하자 ECB 집행이사회 독일측 이사는 반발한다는 뜻으로 사표를 던지기까지 했다. 독일은 동서독 통일 이후 재정지출이 급격히 늘면서 1990년대 중반 재정위기를 겪은 이후 엄격한 균형재정을 실시하고 있다. 독일은 해마다 연방정부의 신규채무를 국내총생산(GDP) 대비 0.35%로 규정해놓고 있다.
이에 라가르드 총재는 ECB 양적완화에 반기를 드는 독일에 겨냥해 견제구를 날린 것이다. 그도 드라기 전 총재와 마찬가지로 유럽의 경기둔화를 막기 위한 부양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그는 특히 재정적으로 견실한 국가들이 부양책을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독일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그는 ECB 총재 취임 직전인 지난달 말 프랑스 라디오 RTL과의 인터뷰에서 “독일과 네덜란드 등 재정적으로 탄탄한 국가들이 인프라와 교육, 혁신에 투자해야 한다”며 재정적 부양정책 시행을 촉구했다.
그리스 재정위기 당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였던 라가르드와 밀접하게 일했던 볼프강 쇼이블레 전 독일 재무장관(현 독일 연방 하원의장)은 5일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라가르드 총재는 국제 경험이 풍부하며 통화정책을 강력하고도 매우 분별 있게 펼치는 것을 추구할 것”이라고 칭찬하면서도 “ECB의 임무는 제한돼 있으며 그가 이를 존중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경기부양책에 동참할 것을 요구하는 라가르드 총재에 불편한 심기를 내비친 것이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