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코로나 수렁… WB, 세계 성장률 4.1%로 하향

올해도 코로나 수렁… WB, 세계 성장률 4.1%로 하향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2-01-12 20:18
수정 2022-01-13 03: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종전보다 0.2%P↓… 내년 3.2%
오미크론 확산하면 3.4% ‘경고’
美 3.7%, 中 5.1%로 수정 전망

이미지 확대
세계은행(WB)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보다 0.2% 포인트 낮은 4.1%로 하향 조정했다. 대규모 경기 부양 효과는 점차 사라지는 반면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으로 코로나19 수렁에서 좀처럼 빠져나오기 힘들 것이란 전망이 반영됐다.

WB는 11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지난해 5.5%였던 전 세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올해 4.1%, 내년 3.2%로 현저하게 둔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WB가 지난해 6월 발표한 보고서 예측치와 비교하면 지난해 성장률 추정치와 올해 성장률 전망치 모두 각각 0.2% 포인트씩 낮아졌다.

코로나19 대유행 첫해인 2020년 역성장(-3.4%)에 대한 기저효과와 각국이 대규모 재정·금융 정책으로 떠받친 부양효과로 지난해엔 5%대 성장을 보였지만, 금리 상승이 예상되는 올해는 이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미국 등 경제 대국이 예상보다 기준금리를 빨리 인상할 경우 성장률 전망치를 추가로 내릴 수 있다고 예상했다.

오미크론 변이의 급속한 확산은 단기적으로 경제 활동을 교란할 수 있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아이한 고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오미크론의 급속한 확산이 계속될 경우 성장률 전망치가 3.4%까지 낮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가군별로 선진국은 지난해 5%에서 올해 3.8%, 내년 2.3%로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신흥국과 개도국은 지난해 6.3%에서 올해 4.6%, 내년 4.1%로 전망됐다. WB는 모든 선진국이 내년까지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의 생산력을 완전히 회복하겠지만, 신흥국과 개도국은 그렇지 못해 선·후진국 간 격차가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 대국들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모두 하향 조정됐다. 미국은 3.7%로 지난번 전망치보다 0.5% 포인트 낮아졌다. 중국은 종전 전망치보다 0.3% 포인트 낮은 5.1% 성장이 예측됐다. 유로존은 0.2% 포인트 내린 4.2%로 예상됐다.



한국과 중국 등이 포함된 동아시아·태평양의 성장률은 올해 5.1%, 내년 5.2%로 예상됐다. 한국의 전망치는 따로 공개되지 않았다.
2022-01-13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