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다른 아우슈비츠, ‘비극’ 기억하고자 문화유산 지정

일본과 다른 아우슈비츠, ‘비극’ 기억하고자 문화유산 지정

입력 2015-05-07 08:25
수정 2015-05-07 08: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나치의 잔혹성을 잊지 말고, 잘못된 이념이 불러온 비극을 후세에게 전하고자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는 1972년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유네스코 홈페이지는 “아우슈비츠 수용소가 나치에 의한 유대인 인종학살의 현장이자 인류에 행한 극악한 범죄라는 점을 밝히는 명백한 증거”라고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이유를 들었다.

아울러 “사상의 자유와 영혼의 자유를 말살하려 한 나치에 대항해 끝내 이긴 인간 정신의 위대함을 보여준 장소”라고 설명했다.

나아가 아우슈비츠는 “야만과 인종차별을 기억하고, 인류의 어두운 역사를 증명하는 장소이며 극단적 이데올로기와 인간 존엄을 부인한 결과가 초래한 비극을 후세에게 전하는 장소”라고 문화유산으로 삼은 근거를 제시했다.

유네스코가 문화유산으로 지정하는 기준 가운데 6번째인 “삶의 사건과 상황, 사상이나 신조가 인류 보편적 가치와 연결돼 뛰어날 때”라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문화유산으로 지정되려면 6개 항의 문화적 기준, 4개항의 자연 기준 등 모두 10개 항의 기준 가운데 적어도 1개 항에 부합해야 한다.

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면 1975년 발효된 ‘세계 문화유산보호 협약’에 따라 보존 기금 등의 지원을 받는다.

아우슈비츠는 나치가 점령한 폴란드에 애초 폴란드인 죄수와 당시 소련군 포로를 가두려고 세웠다가 유대인과 집시 등을 수용해 강제 노역을 시키다가 결국은 가스실에서 집단 처형하는 장소로 쓰였다.

유대인이 주된 희생자로 모두 150만명이 굶주리고 고문받아 처형됐다고 아우슈비츠 홈페이지는 전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산하 민간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일본 정부가 추천한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 23곳을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록하도록 유네스코에 권고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추천한 23곳은 과거의 어두운 역사를 회칠하고 ‘산업화의 유적’이라고 억지를 부린다는 점에서 한국 정부와 시민단체들의 강력한 반발을 사고 있다.

특히 태평양전쟁 당시 전투함과 어뢰 등을 생산하는 전초기지로 최대 4천700명이 동원됐다가 원폭으로 수많은 조선인이 사망한 미쓰비시 나가사키조선소도 포함돼 있어 역사 왜곡이라는 지적을 받는다.

한국 정부도 7개 시설에서 5만7천900명에 달하는 한국인이 강제노역을 당했다는 점을 외면하고 단순한 산업혁명시설로 미화해 등재가 추진되는 것은 부당하다는 뜻을 밝혀 왔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도 “인류보편적 가치를 지닌 유산을 보호하는 세계유산협약의 기본정신에 위배되는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아우슈비츠는 일본이 추진하는 문화유산 시설과 2차 세계대전을 겪었다는 점만 같을 뿐 잘못된 역사를 미화하지 않고 반성한다는 점에서는 상반된 유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