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누적 확진자 내일 중국 넘어설 듯, 세계 52만명 감염

이탈리아 누적 확진자 내일 중국 넘어설 듯, 세계 52만명 감염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3-27 04:46
수정 2020-03-27 05: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연일 코로나19 감염자와 사망자가 급증하고 있는 이탈리아 로마의 SS 사크라멘토 성당에서 한 신부가 함께 마스크를 쓴 신도로부터 물리적 거리를 둔 채 고해성사를 받고 있다. 로마 로이터 연합뉴스
연일 코로나19 감염자와 사망자가 급증하고 있는 이탈리아 로마의 SS 사크라멘토 성당에서 한 신부가 함께 마스크를 쓴 신도로부터 물리적 거리를 둔 채 고해성사를 받고 있다.
로마 로이터 연합뉴스
이탈리아의 코로나19 누적 사망자가 8000명을 넘어섰고, 누적 확진자도 8만명을 넘었다. 하루만 지나면 최초 발원지 중국의 누적 확진자 수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탈리아 보건당국은 26일 오후(현지시간) 전국 누적 사망자가 8215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고 영국 BBC가 전했다. 한때 전날보다 662명이 늘어났다고 발표했으나 피에드몬트 지역의 희생자 50명을 빠뜨렸다며 시민보호청이 나중에 712명이 늘었다고 정정했다. 전날(683명)보다 사망자 수가 조금 늘었다. 21일 793명, 다음날 650명, 23일 602명, 24일 743명, 25일 683명 등으로 종잡을 수 없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확진자 수는 6153명이 늘어난 8만 539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날 증가 인원(5210명)보다 늘었고, 지난 21일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기도 하다. 최근 며칠 증가세가 조금 꺾이는 모습을 보여줘 희망을 안긴다는 성급한 분석이 나왔지만 의료 여건이 더 나쁜 남부로 감염이 확산돼 우려를 낳고 있다. 현재 증가 추이라면 27일 바이러스 발원지인 중국(8만 1285명)을 넘어설 것이 확실하다.

프랑스도 하루에만 365명의 코로나19 사망자가 추가돼 누적 희생자가 1696명이 됐다. 전날 신규 사망자 231명보다 폭증했다. 영국도 오전 9시(그리니치표준시 GMT) 현재 사망자가 578명으로 급증했다고 보건부가 밝혔다. 24시간 동안 103명이 숨졌는데 하루 사망자가 영국에서 100명을 넘긴 것은 이날이 처음이다. 감염자는 1만 1658명이 됐다.

앞서 스페인 보건 당국은 지난 24시간 동안 655명이 세상을 떠나 누적 사망자가 4089명이 됐다고 26일 오후 밝혔다. 전날 하루 사망자 738명보다 조금 줄어들었지만 전날 따돌린 중국(3281명)과의 격차를 한참 벌렸다. 사망자로는 세계에서 이탈리아 다음이다. 확진 환자는 이날 오전 기준 5만 6188명으로 전날보다 8378명이 증가했다.

전날 밤 늦게 의회는 정부가 제출한 국가비상사태 연장안을 찬성 321표, 기권 28표로 통과시켰다. 제1 야당인 국민당(PP) 역시 찬성표를 던졌다. 이에 따라 국가비상사태는 다음달 12일까지 3주간 연장된다.
한편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은 27일 오전 4시 21분(한국시간) 현재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175개국(또는 지역)의 52만 1086명으로 집계했다. 지난해 12월 31일 중국 우한(武漢)에서 시작한 코로나19 전염 사태가 세계적 대유행으로 발전하면서 석달이 안돼 50만명 넘게 감염됐다. 이 대학 집계에 따르면 중국(8만 1782명)-이탈리아( 8만 589명)-미국(7만 9785명)-스페인(5만 6197명)-독일(4만 3646명)-프랑스(2만 9546명)-이란(2만 9406명)-영국(1만 1772명)-스위스(1만 1712명)-한국(9241명) 순이다.

사망자도 2만 3568명으로 집계했다. 이탈리아(8215명)-스페인(4145명)-중국(3169명)-이란(2234명)-프랑스(1696명)-영국(578명)-네덜란드(434명)-미국 뉴욕주(281명)-독일(239명)-벨기에(220명)-스위스(191명)-한국(131명) 순이다.

황철규 서울시의원 “가해에 관대·피해에 가혹한 학폭 조치 기준, 이제 바꿔야”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황철규 의원(국민의힘, 성동4)은 지난 13일 제333회 정례회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가해학생에게는 관대하고 피해학생에게는 가혹한 학교폭력 조치 기준은 이제 바꿔야 한다”며 조치 기준의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황 의원은 최근 심의 사례를 언급하며 “전치 2주의 상해를 입히고도 사회봉사에 그치는 약한 처분이 반복되고 있다”며 “피해학생이 다음 날 가해학생과 같은 학교에 등교해야 하는 현실은 잘못된 기준이 만든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했다. 현행 교육부의 ‘학교폭력 가해학생 조치별 적용 세부기준 고시’는 2016년에 제정된 이후 개정 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황 의원은 “현재 조치 기준상 피해의 심각성이 크더라도 ‘일회성’으로 판단되면 강한 처분이 내려지기 어려운 구조”라며, 학교폭력 조치 기준이 10년 가까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또 가해학생의 반성문·화해 노력 등이 조치 점수에서 과도하게 반영되는 점도 지적했다. 황 의원은 “반성문 몇 장만 제출해도 점수가 낮아져 중한 처분이 사실상 불가능해지는 구조”라며 “현재 조치 점수 체계는 가해학생 중심적이며, 피해학생 보호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thumbnail - 황철규 서울시의원 “가해에 관대·피해에 가혹한 학폭 조치 기준, 이제 바꿔야”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