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대통령, 24년 만에 독일 국빈 방문…극우 바람 맞서 ‘민주주의 연대’ 과시

佛대통령, 24년 만에 독일 국빈 방문…극우 바람 맞서 ‘민주주의 연대’ 과시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4-05-28 01:09
수정 2024-05-28 01: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EU 의회선거 10여일 앞두고 밀착
전쟁 탓 악화된 유럽 재정도 논의

이미지 확대
마크롱, 獨대통령과 맞손
마크롱, 獨대통령과 맞손 프랑스 국가원수로서는 24년 만에 독일을 국빈 방문한 에마뉘엘 마크롱(왼쪽)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독일 75주년 제헌절을 맞아 수도 베를린에서 열린 민주주의 축제에서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과 손을 맞잡고 있다.
베를린 AFP 연합뉴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프랑스 대통령으로서는 24년 만에 독일을 국빈 방문했다. 유럽연합(EU) 의회 선거를 10여일 앞두고 ‘EU의 쌍두마차’인 두 나라가 극우정당 기승에 맞서 ‘민주주의 연대’를 과시하려는 의도다. 마크롱 대통령은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만나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야기된 EU 재정위기 대책도 논의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마크롱 대통령은 “유럽 현대사의 가장 중요한 순간에 이번 방문이 이뤄졌다”면서 “우크라이나 전쟁은 유럽이 직면한 주요 난제 가운데 하나”라고 말했다. 이어 “(러시아의) 제국주의 욕망에 맞서 프랑스와 독일이 동맹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독일 측 카운터파트인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도 “양국이 힘을 합치면 우크라이나 전쟁과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전쟁, 미국 대선 등 유럽이 직면한 지정학적 도전을 헤쳐나갈 수 있다”고 답했다.

그간 마크롱 대통령과 숄츠 총리는 유럽의 국방 대책을 두고 첨예하게 대립해 왔다. 마크롱 대통령은 핵무기 보유국인 프랑스의 방위 산업을 기반 삼아 ‘유럽이 국방 자립을 추구해야 한다’고 역설해 왔다. 반면 숄츠 총리는 옆 나라인 프랑스를 놔두고 미국에서 핵심 무기를 조달해 마크롱 대통령의 반발을 샀다.

최근 두 사람은 오는 6월 6~9일 치러지는 유럽의회 선거를 앞두고 각국에서 극우세력이 큰 인기를 얻고, 중국이 경기 부진을 탈출하고자 밀어내기식 수출에 매진하는 상황을 한목소리로 비판하고 있다.

이번 방문은 3년째 이어지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럽의 재정이 눈에 띄게 악화되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양국 정상이 이 부분을 두고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눌 것으로 보인다.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우크라이나 전쟁 비용은 하루 평균 1억 3600만 달러(약 1860억원)에 달한다. 우크라이나 재정 적자 대부분을 미국과 EU가 대신 메워 주고 있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최소 방위비 기준을 ‘국내총생산(GDP) 대비 3%’로 선언해 유럽 재정위기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2024-05-2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