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1000엔(약 1만원)권 등 지폐 3종의 도안 인물을 2024년부터 바꾸기로 했다. 이들 가운데 과거 일제의 한반도 식민 침탈에 앞장섰던 인물이 포함돼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은 9일 기자회견을 갖고 “1만엔권, 5000엔권, 1000엔권의 디자인을 새롭게 바꾸기로 했다”며 “새 지폐의 발행은 2024년까지 완료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1만엔권에는 일본 자본주의 선구자로 불리는 시부사와 에이이치(1840~1931), 5000엔권에는 쓰다주쿠대학 창립자 쓰다 우메코(1864~1929), 1000엔권에는 일본 근대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기타사토 시바사부로(1853~1931)의 초상을 쓰는 것으로 확정했다. 2021년 상반기까지 500엔 동전의 디자인도 바꾼다.
아소 부총리는 새 지폐 도안 인물로 시부사와 등 3명을 선정한 이유로 “국민들에게 널리 인정받는 메이지 시대 이후의 인물들로, 군인이나 정치가가 아니라는 점”을 들었다. 이렇듯 해당 인물들은 일본 내에서는 근대화의 선구자로 추앙받고 있지만 활동 시기가 모두 제국주의 시절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특히 메이지·다이쇼 시대의 실업가인 시부사와는 구한말 한반도에서 화폐를 발행하고 철도를 부설하는 한편 경성전기(한국전력 전신) 사장을 맡는 등 한반도에 대한 경제 침탈에 전면적으로 나섰던 인물이다. 그는 특히 구한말 대한제국에서 일본 제일은행이 1902~1904년 발행한 첫 근대적 지폐 3종에 등장하기도 했다.
시부사와가 이렇게 과거 한반도 침략의 역사를 대변하는 인물임에도 일본 정부가 새 1만엔권 지폐에 그의 초상을 넣으려는 것에는 과거사를 부정하는 아베 신조 정권의 역사 수정주의가 반영됐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일본 정부의 이 같은 방침을 놓고 일제 식민지배 피해국인 한국에 대한 배려가 결여된 것이라는 비판이 한국뿐 아니라 일본 내에서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2019-04-1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