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렵사리 탈출, 아프간 여성으로 처음 패럴림픽 나서 발차기

어렵사리 탈출, 아프간 여성으로 처음 패럴림픽 나서 발차기

임병선 기자
입력 2021-09-02 12:45
수정 2021-09-03 04: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바 AP 연합뉴스
지바 AP 연합뉴스
아프가니스탄 여자 선수로는 사상 처음 장애인올림픽(패럴림픽)에 출전한 태권도 대표 자키아 쿠다다디(23·오른쪽)가 2일 도쿄 근처 지바현의 마쿠하리 메세 B홀에서 이어진 2020 도쿄패럴림픽 K44 등급 49㎏미만급 16강전에서 만난 지요다콘 이사코바(우즈베키스탄)에게 발차기 공격을 시도하고 있다. 12-17로 져 탈락했다.

여러 나라 정부와 인권단체 등의 도움을 얻어 카불을 빠져나온 쿠다다디와 남자 육상 대표 호사인 라소울리(26)는 프랑스 파리를 거쳐 지난달 28일에야 도쿄 대회 선수촌에 도착해 어렵사리 대회에 출전하게 됐다. 원래 남자 100m에 출전할 예정이었던 라소울리는 이미 경기가 치러진 뒤라 조직위원회의 배려를 얻어 지난달 31일 남자 멀리뛰기에 출전해 꼴찌를 차지했지만 누구보다 큰 박수를 받았다.

사실 태권도는 이날 패럴림픽 정식종목으로 첫 선을 보였다. 태권도는 2015년 1월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집행위원회에서 2020 도쿄패럴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돼 4일까지 상지 절단 장애인 선수들이 치르는 겨루기만 한다. 남자부는 61㎏급, 75㎏급, 75㎏초과급, 여자부는 49㎏급, 58㎏급, 58㎏초과으로 세 체급씩, 여섯 개의 금메달이 걸려 있다. 남자 27개국 36명, 여자 26개국 35명이 출전해한다. 스포츠등급은 K44(한팔 또는 다리 기능 제약, 한쪽 절단 또는 마비)에 K43(양 팔꿈치 아래 절단) 등급을 통합해 치른다.

경기 규칙은 올림픽과 조금 다르다. 선수 보호를 위해 머리 공격을 허용하지 않고, K43∼44가 손목 절단 장애 유형인 만큼 몸통 부위 주먹 공격도 금지된다. 위험한 플레이에 대해선 즉각 벌점이 부여된다. 채점방식도 다르다. 뒤차기의 경우 올림픽에선 4점이지만 패럴림픽에선 3점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