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코로나 후유증도 산재”… 1만 5000명 구제

日 “코로나 후유증도 산재”… 1만 5000명 구제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1-11-04 17:52
수정 2021-11-05 01: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0명 중 7명, 의료·복지 시설 근무자
26%는 완치 반년 지나도 후각 등 이상

일본 효고현의 한 양로원에서 물리치료사로 근무한 40대 남성은 지난해 12월 근무 중 코로나19 감염자와 접촉해 확진되는 바람에 2개월가량 치료를 받게 됐다. 산업재해로 인정받은 그는 업무에 복귀했지만 미각 장애 등 후유증을 겪으며 지난 4월부터 다시 일을 쉬게 됐다. 그는 또다시 노동기준감독서(한국에서는 노동청)에 산재 신청을 했고 지난 8월 법원으로부터 “후유증은 업무 중 감염된 코로나19와의 인과관계가 인정된다”는 판결을 받았다.

4일 NHK에 따르면 일본에서 근무 중 코로나19 감염만이 아닌 완치 후 후유증에 대해서도 산재로 인정하고 있다.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지난 9월 말까지 1만 4567명이 코로나19로 산재를 인정받았다.

이 가운데 효고현의 남성처럼 의사와 간호사, 요양기관 근로자 등 의료·복지 분야에서 일한 근로자가 1만 1214명으로 전체의 70%를 차지했다. 운수업과 우편업 376명, 제조업 315명, 숙박업·음식서비스업 245명 등이 일하다 코로나19에 감염돼 산재로 인정받았다.

문제는 후유증이다. 일본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가 지난해 2월부터 올해 3월 중 코로나19에 감염됐다 회복한 457명을 대상으로 후유증을 조사한 결과 완치된 지 6개월이 지났음에도 26.3%가 후각과 미각의 이상, 피로감, 호흡곤란 등의 후유증을 겪었다. 또 1년이 지났음에도 8.8%가 이러한 후유증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생노동성 보상과는 “코로나19는 감염된 후 증상이 계속되는 경우가 있으니 인근 노동기준감독서에 상담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에서도 업무 중 코로나19 감염 시 일부 산재로 인정받고 있지만 후유증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사례가 없다.

2021-11-0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