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봉지에 100만원’ 고급 김 나왔다…기네스도 인정, 어떤 맛?

‘한 봉지에 100만원’ 고급 김 나왔다…기네스도 인정, 어떤 맛?

윤예림 기자
입력 2025-06-17 21:00
수정 2025-06-17 2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매서 낙찰된 가장 비싼 김’ 기네스 등재된 일본 김

이미지 확대
일본의 프리미엄 김 브랜드 ‘시오야 이치반’의 김(사진)이 ‘경매에서 낙찰된 가장 비싼 김’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됐다. 제과점 후가 인스타그램 캡처
일본의 프리미엄 김 브랜드 ‘시오야 이치반’의 김(사진)이 ‘경매에서 낙찰된 가장 비싼 김’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됐다. 제과점 후가 인스타그램 캡처


경매에 나온 일본 프리미엄 김 브랜드의 김이 한 장당 1200엔(약 1만 1000원)에 낙찰돼 ‘경매에서 낙찰된 가장 비싼 김’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됐다.

17일 구마모토TV에 따르면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가와치마치에서 생산된 구운김 브랜드 ‘시오야 이치반’의 김이 올해 2월 4일 자로 이 같은 기네스 기록을 세웠다.

김 제조업체 ‘츠호’, 제과점 ‘후가’, 유통업체 ‘아리아케 김 연구소’ 등 3개 업체는 지난 2월 구마모토현 어업협동조합연합회가 개최한 입찰회에 참여해 시오야 이치반의 김을 한 세트당 12만엔(약 113만원)에 낙찰받았다. 김 100장이 한 세트다.

이들 업체가 높은 경매가를 제시한 이유는 따로 있었다. 지속되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적조 현상으로 인해 3년 연속 흉작을 겪은 아리아케해(海) 김 생산자들을 응원하기 위함이었다.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고 화제가 되면 생산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한 것이다.

이미지 확대
일본의 프리미엄 김 브랜드 ‘시오야 이치반’의 김이 ‘경매에서 낙찰된 가장 비싼 김’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됐다. 이달 4일 인증서를 받는 모습. 제과점 후가 인스타그램 캡처
일본의 프리미엄 김 브랜드 ‘시오야 이치반’의 김이 ‘경매에서 낙찰된 가장 비싼 김’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됐다. 이달 4일 인증서를 받는 모습. 제과점 후가 인스타그램 캡처


이미지 확대
일본의 프리미엄 김 브랜드 ‘시오야 이치반’의 김이 ‘경매에서 낙찰된 가장 비싼 김’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됐다. 이달 4일 인증서를 받는 모습. 구마모토TV 보도화면 캡처
일본의 프리미엄 김 브랜드 ‘시오야 이치반’의 김이 ‘경매에서 낙찰된 가장 비싼 김’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됐다. 이달 4일 인증서를 받는 모습. 구마모토TV 보도화면 캡처


기네스 인증서 수여식은 이달 4일 열렸으며, 관계자 약 20명이 참석한 가운데 3개 업체에게 인증서가 전달됐다.

이들은 “시오야 이치반을 통해 아리아케해의 보물이라 할 수 있는 고품질의 맛있는 김을 국내외에 널리 알리고 싶다”며 “후계자 부족에 시달리는 김 산업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쏟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시오야 이치반은 구마모토시 가와치마치의 어장에서 양식된 김으로, 처음 수확한 김 중에서도 감칠맛, 향, 부드러움 등의 기준을 충족한 김만을 엄선한다.

아리아케 김 연구소의 시마다 유미코 대표는 “아리아케해의 불안정한 해황이 계속되는 가운데 이렇게 훌륭한 김이 생산돼 기쁘다”며 “구마모토 김을 세계에 더 알리고 싶다. 세계 최고를 인정받은 김을 생산할 수 있는 어장으로서, 구마모토 김 전체를 부흥시키고 싶다”고 말했다.

기네스에 등록된 이 김은 구마모토시의 쓰루야 백화점, 제과점 후가, 아리아케 김 연구소 직영점 및 온라인몰에서 판매 중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