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볼라 통제못하면 11월초까지 2만명 이상 감염”

“에볼라 통제못하면 11월초까지 2만명 이상 감염”

입력 2014-09-23 00:00
수정 2014-09-23 16: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아프리카에서 창궐한 에볼라 바이러스를 조기에 통제하지 못하면 11월 초까지 에볼라 감염자 수가 2만명을 훨씬 넘게 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연구진은 23일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에 게재한 논문에서 서아프리카의 에볼라 바이러스 데이터를 토대로 에볼라 확산 속도와 규모를 분석,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이 논문은 지난해 12월 말 기니의 한 밀림지대에서 에볼라가 처음 발생했고, 지난 3월 기니 정부가 WHO에 보고했을 때에는 이미 기니 수도 코나크리에까지 번진 상태였으며 5월에 시에라리온, 6월에 라이베리아로 전파된 데 이어 7월부터는 이들 3개 국가에서 엄청난 속도로 번졌다고 설명했다.

이 논문의 공동 저자인 크리스토퍼 다이 WHO 전략국장은 “연구 결과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에 남녀 간 차이가 없으며 올해 9월14일 현재까지 4천57명이 감염됐고 이 중 70.8%가 사망한 것으로 분석됐다”면서 “에볼라가 이처럼 넓게 퍼진 것은 에볼라의 생물학적 특성보다는 (이동을 많이 하는) 감염자들의 특성, 열악한 보건의료 시스템 등의 원인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는 “기니 등 3개 국가에서 에볼라를 조기에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면 이들 국가는 앞으로 매주 수천 명이 감염되고 사망한다는 보고를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페리얼 칼리지 크리스티 도넬리 전염병 통계학 교수는 “보건의료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는 나이지리아에서는 대도시에서 처음 에볼라가 발생했지만, 감염자 수가 더는 늘어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WHO는 22일 현재 서아프리카 5개국의 에볼라 감염자는 5천864명, 사망자는 2천811명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