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말리아 알샤바브, 미국 등지서 쇼핑몰 테러 협박

소말리아 알샤바브, 미국 등지서 쇼핑몰 테러 협박

입력 2015-02-23 07:18
수정 2015-02-23 07: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말리아의 극단주의 무장단체 알샤바브가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의 쇼핑몰에서 테러를 벌이겠다고 협박했다.

CNN 등 미국 언론들은 22일(현지시간) 알샤바브가 복면을 쓴 조직원을 등장시켜 추종자들에게 쇼핑몰에서 테러를 벌이도록 부추기는 내용의 영상 메시지가 배포됐다고 전했다.

이 조직원은 “무자헤딘(이슬람 전사)들이 서방에서 전세계의 미국·유대인 쇼핑센터를 상대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상상해보라”면서 미국 몰 오브 아메리카, 캐나다 웨스트 애드먼턴몰, 영국 옥스퍼드 쇼핑거리, 프랑스 포름데알과 레 카트르 탕 등을 언급했다.

앞서 알샤바브 가담자 4명은 2013년 9월 케냐 나이로비의 웨스트게이트 쇼핑몰에서 무차별 살상극을 벌여 한국인 여성 1명을 포함해 67명이 숨지기도 했다.

테러조직 알카에다의 연계조직인 알샤바브의 쇼핑몰 테러 위협에 대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네드 프라이스 대변인은 “대중 안전과 국가 안보가 가장 중요한 일”이라며 연방수사국(FBI) 등 사법기관들과 함께 테러방지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이 존슨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은 CNN 인터뷰에서 “오늘 몰 오브 아메리카에 가려는 사람이 있다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테러 위협이 새로운 단계에 진입해 알샤바브나 ISIL(미국 정부가 IS를 지칭할 때 쓰는 용어)이 각국 추종자들에게 자생적인 공격을 독려하고 있다”면서 이들 집단이 특정 장소에 대한 공격을 촉구하면 진지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미국에서 소말리아 출신 이민·이주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진 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 당국은 알샤바브의 새로운 테러 위협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협박 영상에서 언급된 쇼핑몰 중 한 곳인 미네소타 주 블루밍턴의 몰 오브 아메리카 측은 성명을 내고 “영상의 존재를 알고 있으며 경계와 예방 활동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미 정부 관계자는 “미국을 겨냥한 구체적이고 신빙성 있는 위협 징후는 (현재로선) 없다”고 말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한편 존슨 장관은 이번 협박과 관련, “이게 바로 국토안보부가 예산이 필요한 이유”라고 말해 행정부와 의회간 ‘예산 줄다리기’를 꼬집기도 했다.

공화당이 장악한 미 의회는 불법체류자 수백만명의 추방을 유예하려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이민정책에 반발해 국토안보부의 2015 회계연도 예산안을 통과시키지 않고 있다.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의원은 지난 4일 제333회 정례회 홍보기획관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가 운영하는 온라인 홍보 채널의 최근 성과를 집중적으로 점검하며 “짧은 기간 안에 상당히 큰 성과를 달성했다”며 “서울시 공공소통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먼저 서울시 유튜브 채널 성과를 언급하며 “조회수가 86% 증가해 연간 840만명이 시정 콘텐츠를 시청했고, 구독자 수는 26만명에 달한다”고 질의했다. 이어 “주 20회 이상 자체 콘텐츠를 제작·발행해 양적 확대가 뚜렷하다”며 “단순한 예산투입형이 아니라 자체 제작 콘텐츠의 질을 기반으로 달성한 성장”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김 의원은 “이 정도 수준의 성과라면 단지 시정 홍보를 넘어 공공 소통 모델로서 타 지자체 또는 정부부처와 공유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강조하며, 다른 지자체와의 협업 계획 여부를 질의했다. 이에 홍보기획관은 “필요하다면 언제든 협력 가능하다”고 답했다. 인스타그램 성과에 대해서도 김 의원은 상세히 점검했다. 김 의원은 “서울시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50만명(※ 실제 현행 약 54.2만명)으로, 2위 부산시의 약 19.7만명과 큰 격차를 보인다”며 “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