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 등 인접국으로 19만명 필사의 탈출…그마저도 생계 막막

오만 등 인접국으로 19만명 필사의 탈출…그마저도 생계 막막

나상현 기자
입력 2018-07-05 23:10
수정 2018-07-06 02: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예멘인 내전 피해 어디로

내전을 피해 전 세계 각지로 흩어진 예멘인들은 오만과 사우디아라비아, 그리고 아프리카 북동부 지역을 일컫는 ‘아프리카의 뿔’에 특히 많이 머물러 있다. 그러나 예멘인들은 그곳에서도 쉽사리 희망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오만, 난민 직업 불허 ‘불법취업’

5일 유엔난민기구(UNHCR)에 따르면 인접 6개국으로 피신한 예멘 난민은 약 19만 352명(지난해 10월 기준)이다. 예멘인들은 오만(5만 1000명), 소말리아(4만명), 사우디아라비아(3만 9800명), 지부티(3만 7000명), 에티오피아(1만 4000명), 수단(7000명) 등 각지로 퍼졌다.

●사우디 수천명 추방·다시 전선에

당장 눈앞에 떨어지는 포탄으로부터 도망 나온 예멘인들의 삶은 여전히 녹록지 않다. 중동 매체 ‘더 내셔널’에 따르면 가장 많은 예멘인들을 받아들인 오만은 난민이 직업을 갖는 것은 허용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예멘인들은 불법 취업을 통해 불안정하게 생계를 꾸려 나가고 있다. 유럽·지중해 인권감시기구는 지난 1월 사우디아라비아가 국제 협약을 어기고 수천명의 예멘인을 추방하거나 전선에 끌고 갔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제주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제주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2018-07-06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