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영화 시장 매출액이 사상 처음 1조원을 돌파<서울신문 1월5일자 1·21면>한 것으로 공식 집계됐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영화진흥위원회는 25일 ‘2009 한국 영화산업 보고서’를 내고 전체 극장 입장권 매출액이 1조 928억원이라고 발표했다. 전년(9794억원)보다 11.6%나 증가한 수치로 역대 최고 기록이었던 2007년 9918억원을 뛰어넘었다. 전체 극장 관객수는 1억 5679만명으로 집계됐다. 2008년 1억 5088만명에 견줘 4% 늘어난 것으로 역대 2위에 해당한다. 관객수는 2007년(1억 5877만명)이 최고였다. 지난해 한국영화(방화) 관객수는 7647만명으로 전년 대비 20.3% 늘었다. 매출액도 5330억원으로 전년 대비 29.2% 증가했다. 시장 점유율은 2008년 42.1%에서 2009년 48.8%로 크게 올라섰지만 50% 벽은 넘어서지 못했다. 그래도 전체 흥행순위(관객수 기준) 톱10에 1위 ‘해운대’를 비롯해 무려 6편이 진입했다.
투자수익률은 명암이 갈렸다. 50%가 넘는 수익률을 내며 대박을 터트린 영화가 8편이나 됐지만 전체 138편의 평균 투자 수익률은 마이너스(-) 19.6%에 그쳤다. 대부분은 손해를 봤다는 얘기다. 영진위 측은 “한국영화에 대한 관객들의 신뢰가 회복됐다는 데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2009년을 요약했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0-01-26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