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년 된 비석 따라가는 서울 역사여행

수백년 된 비석 따라가는 서울 역사여행

입력 2010-10-24 00:00
수정 2010-10-24 12: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백년 전 이야기를 담은 서울의 비석들이 소개됐다.

 서울시는 24일 보물이나 시 유형문화재 등으로 지정된 고려∼조선시대 비석 중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비석들의 내력 등을 설명했다.

 노원구 하계동 서라벌고교 인근 충숙공원에 있는 ‘이윤탁 한글 영비’는 조선 중종 31년(1536년) 문신 이문건이 부친 묘 앞에 세운 비석이다.

 구한말까지 한글로 새겨진 비석 4개 중 건립연대를 알 수 있는 유일한 것으로 보물 제1524호로 지정됐다.

 송파구 석촌호수 인근에 있는 ‘삼전도비’는 병자호란 때 청나라 태종이 공덕을 자랑하려 세우게 한 것으로 앞면 왼쪽은 몽골어,오른쪽은 만주어,뒷면은 한자로 새겨져 3개 언어가 동시에 등장한다.

 인조가 1639년 청태종 앞에서 머리를 조아리며 항복한 삼전도 굴욕만큼 삼전도비도 시련을 겪어,1895년에 매몰됐다가 일제강점기에 다시 세워지고 1956년에 주민이 다시 땅속에 묻었다가 1963년 홍수로 발견됐으며 2007년에 비석 훼손사건이 발생한 이후 올해 4월에야 지금 위치에 자리잡았다.

 은평구 구산역 인근의 보물 제1462호 ‘인조별서유기비’는 조선 인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 머무른 별서를 기념하려 세운 것으로 숙종이 직접 글씨를 썼다.

 서대문구 명지대에 있는 시 유형문화재 제91호 ‘양호거사비’는 임진왜란 때 조선을 지원한 명나라 장군 양호의 공을 기리려는 것이다.

 임금이나 공신의 업적을 기록해 무덤 가에 세워둔 신도비는 동작구 사당동 까치산공원과 중랑구 망우동 용마공원 앞 등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다.

 은평구 진관동 아파트 단지 안에 있는 시 유형문화재 제38호 ‘금암기적비’는 조선 정조가 참배하고 돌아오는 길에 할아버지인 영조의 옛일을 돌이켜보며 세운 것이다.

 동대입구역 근처 장충단공원에는 을미사변에 희생된 영령을 위로하기 위한 시 유형문화재 제1호 ‘장충단비’가 있고 강서구 개화산에는 6.25전쟁 중 개화산전투에서 산화한 국군 전사자 1천100명의 영령을 위로하기 위한 ‘호국충혼위령비’가 있다.

 백호 행정과장은 “관광지나 박물관을 일부러 찾아가지 않고 주변에 있는 비석만 관심 있게 봐도 색다른 역사 여행을 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 동대문구 제4선거구)은 지난 1일 서울시립아동힐링센터(동대문구 답십리로69길 106) 개소식에 참석, 서울시의 아동에 대한 심리·정서 공공치료 기반 마련에 대한 기대와 환영의 뜻을 전했다. 서울시 아동양육시설 내 전체 아동 1591명 중 약 43%에 해당하는 679명이 정서적·심리적 집중 치료가 필요한 상황에서, 이번 센터 개소는 공공 차원의 본격적인 대응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는 ADHD, 우울, 외상 경험 등으로 치료가 필요한 아동을 대상으로 최대 6개월간 입소 치료를 제공하며, 심리상담사, 사회복지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놀이치료사 등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맞춤형 비약물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치료 종료 후 아동은 원래 생활하던 양육시설로 귀원하거나, 재입소할 수 있다. 신 의원은 축사에서 “서울시아동힐링센터는 단순한 보호시설을 넘어, 상처 입은 아동의 마음을 치유하고 회복의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이라며 “이곳에서 아이들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키워나가길 진심으로 바란다”라고 전했다. 이어 “서울시가 정서적 돌봄을 제도화하고, 전문가의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