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장 중앙 거대한 책 안에 드니 바깥쪽 벽에 英詩가 투영되고…

전시장 중앙 거대한 책 안에 드니 바깥쪽 벽에 英詩가 투영되고…

입력 2011-04-30 00:00
수정 2011-04-3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애란 작가 ‘The Luminous Poem’ 展 갤러리시몬서 새달 29일까지

전시장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입이 쩍 벌어질는지 모르겠다. 큰 서가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서가를 가득 채운 책은 알록달록 번쩍번쩍하는 발광다이오드(LED) 책들이다. 책을 주제로 한 전시라 하면 북카페처럼 아늑하고 편안하고 조용한 뭔가를 기대했을 수 있다. 그렇다면 당혹스러울 법하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불편하다. 너무 요란스러운 게 아닌가 싶어서다.

“옛 경험이나 추억 하면 왜 낡은 사진 같은 것을 떠올리죠?” 강애란(51) 작가가 반문한다. 딱히 할 말이 없다.

5월 29일까지 서울 통의동 갤러리시몬에서 열리는 강 작가의 개인전 ‘The Luminous Poem’, 한국말로 옮기자면 ‘반짝반짝 빛나는 시’ 전시다.

이미지 확대
미술관 한가운데 책으로 된 거대한 문(門)을 설치해 놓은 강애란 작가는 “책에 완전히 녹아드는 황홀한 느낌을 표현해 보고 싶었다.”고 말한다.
미술관 한가운데 책으로 된 거대한 문(門)을 설치해 놓은 강애란 작가는 “책에 완전히 녹아드는 황홀한 느낌을 표현해 보고 싶었다.”고 말한다.
●책 읽고 녹아든 황홀감 LED책에 표현

압권은 2층 전시장. 전시장 입구에는 존 밀튼의 ‘빛’(Light), 랠프 에머슨의 ‘미에 대하여’(Ode To Beauty) 등 시집 10권이 놓여져 있다. 물론 LED 책이다. 그 가운데 마음에 드는 책 1권을 들고 전시장 안으로 들어가 한쪽 구석 선반에 올려두면 센서가 작동하면서 책 안에 실린 시가 낭송된다. 전시장 중앙에 놓인 거대한 책 안으로 문을 열고 들어가면 책 건너편 바깥에 투사되는 영문 시도 읽을 수 있다.

“마음에 와 닿는 책을 읽었을 때 책에 완전히 녹아드는 황홀함, 그 느낌을 표현해 보고 싶었어요.” 책에 대해 특별한 애착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경험해 볼 법한 장소다.

강 작가는 책을 소재로 10여년째 작업을 해 오고 있다. 책이란 잉크로 찍힌 활자를 담고 있는 하나의 종이 덩어리지만, 작가에게 책은 잉크와 종이라는 물질적 형식을 뛰어넘어 무한한 환상을 제공하는 세계다. 책을 여는 순간 펼쳐지는 그 무한한 환상의 세계가 주는 황홀함을 표현하기 위해 LED 책을 개발해낸 것이다.

1986년 대학원생 시절 열었던 첫 전시에서는 보따리로 싸둔 책을 주로 그렸다.

그러다 책 자체가 이미 생각주머니인데 보따리로 굳이 한번 더 쌀 필요가 뭐 있겠나 싶어 보따리를 풀어버렸다.

생각은 점점 더 발전해서 책은 있는 그대로 내버려 둬도, 작가의 표현을 빌리자면 “책의 무덤이 발견된 뒤 500년이 지난 뒤에도 지식의 빛을 발할 것”이라는 생각에서 디지털 책을 개발해낸 게 2000년이었다. “책을 단순히 오브제로 쓰는 것을 뛰어넘기 위해” 이런 작업이 탄생한 셈이다.

●읽어달라는 듯한 서가의 책 느낌 살려

애초에 아이패드나 킨들 같은 전자책을 썼다면 어땠을까. “글쎄요. 전자책을 갖고 작업할 날도 언젠가는 올 수 있겠지요. 그런데 저 개인적으론, 아직은 어릴 적 봤던 책에 대한 추억이 더 강한 것 같아요. 책상 위나 서가에 꽂힌 책 그 자체가 주는 느낌, 그러니까 ‘나 여기 살아 있어요’, ‘나를 뽑아내서 읽어줘요’라고 손짓하는 듯한 느낌 같은 것 말이지요.”

글자가 살아 움직이는 책을 만든 이유도 이것과 통한다. 회화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책을 쌓아둔 그림을 그린 뒤 책 제목이 적힌 세로 모서리 부분에 LED로 책 제목이 흐르도록 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해외 전시를 염두에 두고 작업하다 보니 영문 작품들만 있다는 것이다. “한국 작품도 해야죠. 제 꿈은 읽은 책, 읽어 보고 싶은 책 모두 이렇게 만들어 보는 거예요.”

한마디 더 보탠다. “한데 모아두면 화려해 보일지 모르겠지만, 서가나 책상에 몇 권만 슬쩍 두면 은은한 맛이 난답니다.” 배터리도 자체 개발해 전깃줄이 치렁치렁 늘어지는 흉한 모습은 피했다. (02)549-3031.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4-3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