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향한 작지만 큰 외침..’일인시위’

세상 향한 작지만 큰 외침..’일인시위’

입력 2011-06-10 00:00
수정 2011-06-10 07: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상을 향한 알싸한 프러포즈 일인시위’ 출간

관공서나 대기업 앞에 홀로 피켓을 들고 묵묵히 서 있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생업을 뒤로하고 거리로 나와야 했던 그들의 절실한 요구가 무엇인지 궁금해지기도 하지만 길을 가다 멈춰 서서 그들의 글을 읽고 이야기를 들어주는 사람은 많지 않다.

’세상을 향한 알싸한 프러포즈 일인시위’(헤르츠나인 펴냄)는 20-30대 7명으로 구성된 집필집단 ‘사이시옷’이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일인시위자 여덟 명을 인터뷰해 쓴 책이다.

2000년 12월 재벌의 불법증여에 대해 정당하게 과세하라며 국세청 앞에서 시위를 벌인 회계사 윤종훈 씨는 일인시위를 시위의 한 방법으로 뿌리내리게 한 인물이다.

기업의 암묵적인 분식회계 관행에 회의를 느껴 회계사 일을 그만둔 윤씨는 시위는 2인 이상인 경우에 해당된다는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의 틈새를 이용해 나홀로 시위를 시작했고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

현재 신촌에서 짬뽕집을 운영 중인 그는 “일인시위는 어디에도 기댈 곳이 없는 서민들이 하는 마지막 수단”이라고 말한다.

”원래 일인시위는 큰 외침보다는 오히려 고요한 침묵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해요. 물론 백 명보다 천 명의 목소리가 더 크겠죠. 하지만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큰 목소리가 아니거든요.”(41쪽)

두발 자유를 주장하며 학내 일인시위를 벌인 중학생 클린앤은 학교 상황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고등학교에 진학한 후에도 시위를 멈추지 않겠다고 한다.

”사실 몰랐으면 괜찮았을 텐데. 마음에 안 들고 불편한 일이 너무 많아 보이는 거예요. 학교만 봐도 그렇고. 제가 생각했던 세상과 현실이 너무 다르니까 괴리감을 느껴요.”(114쪽)

홍세화 한겨레신문 기획위원은 “정의와 민주주의에는 힘도 없지만 그 자체에는 적극성도 담겨 있지 않다”며 “굳은 의지로 자신의 뜻에 적극성을 결합해 낸 사람만이 깨어있는 시민의식의 주체로서 정의의 수호자가 될 수 있는 까닭이며 일인시위가 아름다운 아우성이 될 수 있는 이유”라고 말했다.

292쪽. 1만2천원.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