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지지’ 김지하…작가회의의 고민

‘박근혜 지지’ 김지하…작가회의의 고민

입력 2012-11-28 00:00
수정 2012-11-28 10: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선을 20여일 앞둔 시점에 시인 김지하의 행보를 놓고 한국작가회의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앞서 언론 인터뷰를 통해 여성 후보로서 박 후보에 대한 호감을 표했던 김지하 시인이 지난 26일 보수단체 시국강연에서 “여자가 세상일 하는 시대가 왔다”면서 박 후보를 공개지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은 지난 27일 브리핑에서 “박 후보가 (김지하 시인의) 진솔한 말씀에 감동을 느꼈다. 진심으로 고마운 일”이라고 반겼다.

한국작가회의는 박정희 정권에 저항하다 투옥된 김 시인의 석방 운동을 계기로 1974년 자유실천문인협의회를 발족한 뒤 민족문학작가회의를 거쳐 지금에 이른다. 이런 처지여서 김 시인의 최근 행보는 마음 편히 지켜보기 어려운 광경이다.

김 시인과 한국작가회의 사이의 긴장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1991년 민주화를 요구하는 분신자살이 잇따랐을 때 김 시인은 한 신문에 ‘죽음의 굿판을 당장 걷어치워라’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가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직과 회원자격 정지 결정을 당했다.

당시 작가회의는 “비록 개인적 입장에서 발표한 글이지만 이 때문에 작가회의를 포함해 민족문학진영 전체가 오해받을 소지가 있다고 판단한다”며 이런 결정을 내렸다.

10년 뒤인 2001년 김 시인은 민족문학작가회의 소속 문인들과 만나 화해했지만 김 시인 역시 민주화 운동을 함께해온 이들에게 깊은 서운함을 가진 터여서 이후에도 ‘옛 동지들’과의 서먹함은 지속돼 왔다.

일단 한국작가회의는 김 시인의 최근 발언에 대해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는 않기로 했다고 전했다.

애초 김 시인이 박 후보에 대한 호의적 발언을 시작했을 때 성명서를 준비하다가 접은 데 이어 이번 공개지지 발언에도 입장을 내놓지 않기로 한 것이다.

한국작가회의가 견지해온 진보적 문학단체의 입장을 감안해 김 시인의 발언을 마냥 듣고 흘리기 어렵다는 내부 목소리가 있지만 반응하지 않는 쪽이 낫겠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문단 관계자는 “다른 사람도 아닌 김지하이기 때문에 지켜보는 이들의 속내가 복잡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연합뉴스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 동대문구 제4선거구)은 지난 1일 서울시립아동힐링센터(동대문구 답십리로69길 106) 개소식에 참석, 서울시의 아동에 대한 심리·정서 공공치료 기반 마련에 대한 기대와 환영의 뜻을 전했다. 서울시 아동양육시설 내 전체 아동 1591명 중 약 43%에 해당하는 679명이 정서적·심리적 집중 치료가 필요한 상황에서, 이번 센터 개소는 공공 차원의 본격적인 대응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는 ADHD, 우울, 외상 경험 등으로 치료가 필요한 아동을 대상으로 최대 6개월간 입소 치료를 제공하며, 심리상담사, 사회복지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놀이치료사 등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맞춤형 비약물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치료 종료 후 아동은 원래 생활하던 양육시설로 귀원하거나, 재입소할 수 있다. 신 의원은 축사에서 “서울시아동힐링센터는 단순한 보호시설을 넘어, 상처 입은 아동의 마음을 치유하고 회복의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이라며 “이곳에서 아이들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키워나가길 진심으로 바란다”라고 전했다. 이어 “서울시가 정서적 돌봄을 제도화하고, 전문가의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