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통신사 세계유산 등재 한국추진위 16일 발족

조선통신사 세계유산 등재 한국추진위 16일 발족

입력 2014-06-12 00:00
수정 2014-06-12 11: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학계·관련 도시 관계자 37명 참여…일본 추진위 지난달 발족

조선통신사 관련 자료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한국과 일본의 공동 노력이 본격화한다.

부산문화재단은 오는 16일 부산시 중구 코모도호텔에서 조선통신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한·일 공동 등재를 위한 한국 측 추진위원회 발족식을 연다고 12일 밝혔다.

한국추진위원회에는 강남주 전 부산문화재단 대표이사, 장제국 동서대 총장, 남송우 부산문화재단 대표이사, 최화수 봉생문화재단 부이사장, 강대민 조선통신사 학회장 등 학계인사와 부산을 비롯해 조선통신사와 관련 있는 도시 관계자 등 37명이 참여한다.

추진위원회 산하 학술위원회에는 10명의 조선통신사 관련 국내 전문가가 참여한다.

한국추진위원회를 이끌 위원장은 장제국 동서대 총장과 남송우 부산문화재단 대표가 공동으로 맡는다.

조선통신사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애초 한국과 일본 양국 정부가 추진할 방침이었다.

그러나 독도 등 역사문제를 놓고 양국 관계가 나빠지면서 추진이 흐지부지되자 부산문화재단과 일본 조선통신사 연락협의회 등 양국 민간 관계자들이 지난 3월 민간기구를 만들어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일본 측은 지난달 21일 ‘조선통신사 유네스코 기록유산등재 일본 추진부회’를 설립하고 산하에 학술위원회를 조직했다.

양국 추진위원회는 2016년 3월 공동 등재 신청, 2017년 공동 등재를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남송우 부산문화재단 대표는 “일본에 이어 한국 측 추진위원회와 학술위원회가 발족함에 따라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활동이 본격화할 것”이라며 “양국 정부도 민간기구의 활동을 적극 지원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복자 서울시의원, 안심귀가·안전지원 사업의 실효성 제고와 근본 개선 촉구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 동대문4)은 지난 5일 열린 여성가족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시민의 안전한 귀갓길과 범죄예방을 위해 추진 중인 주요 사업들의 재정사업 평가 ‘미흡’과 저조한 이용률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근본적인 개선 없이 사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신 의원은 안심귀가스카우트 사업이 2023년에 이어 2024년 재정사업 평가에서 연속으로 ‘매우 미흡’ 등급을 받았음에도 활성화 노력은 미비하고, 오히려 예산과 인력만 대폭 축소되고 있는 상황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안심귀가스카우트는 여성, 청소년 등 범죄 취약계층에 대한 안전한 귀가 지원서비스로 사업 예산은 2022년 37억원에서 2025년 12억원으로 줄었으며, 2026년 예산안은 그 절반 수준인 6억원으로 책정되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카우트 대원 인원 역시 2024년 334명에서 점차 줄어 2026년에는 60명으로 더 축소될 계획이다. 신 의원은 “60명의 인원으로 25개 구의 안전 귀가 서비스를 어떻게 소화할 수 있을지 우려스럽다”고 말하며, 단순히 예산을 줄이고 인원을 축소하면서 자치구와 재원 분담을 추진하는 것은 사업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닌 책임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안심귀가·안전지원 사업의 실효성 제고와 근본 개선 촉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