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0년 충남 태안군 근흥면 마도 해역에서 발견된 고려시대 선박 ‘마도 1호선’이 800여 년 만에 복원됐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6일 오후 전남 목포시 연구소 옆 해변광장에서 ‘마도 1호선’ 진수식을 열었다.
이미지 확대
고려시대 조운선 800년 만에 복원…’바다로’ 지난 2010년 충남 태안군 근흥면 마도 해역에서 발견된 고려시대 선박 ’마도 1호선’이 800여 년 만에 복원됐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6일 오후 전남 목포시 연구소 옆 해변광장에서 ’마도 1호선’ 진수식을 열었다. 고려시대 지방에서 개경으로 보내는 물품을 운송하던 조운선(漕運船)이었던 ’마도 1호선’은 발견 당시 곡물류와 도자기, 대나무 제품, 식품류 등 다양한 유물을 실은 채 발견됐다. 경성대 오승환 교수 드론프레스(www dronepress co kr)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고려시대 조운선 800년 만에 복원…’바다로’
지난 2010년 충남 태안군 근흥면 마도 해역에서 발견된 고려시대 선박 ’마도 1호선’이 800여 년 만에 복원됐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6일 오후 전남 목포시 연구소 옆 해변광장에서 ’마도 1호선’ 진수식을 열었다. 고려시대 지방에서 개경으로 보내는 물품을 운송하던 조운선(漕運船)이었던 ’마도 1호선’은 발견 당시 곡물류와 도자기, 대나무 제품, 식품류 등 다양한 유물을 실은 채 발견됐다. 경성대 오승환 교수 드론프레스(www dronepress co kr) 제공
고려시대 지방에서 개경으로 보내는 물품을 운송하던 조운선(漕運船)이었던 ‘마도 1호선’은 발견 당시 곡물류와 도자기, 대나무 제품, 식품류 등 다양한 유물을 실은 채 발견됐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지난 3월부터 복원작업에 착수해 8개월 만에 길이 15.5m, 너비 6.5m, 높이 3.2m 규모의 ‘마도 1호선’을 복원했다.
복원작업은 그간 발굴된 고(古)선박과의 비교 연구, 문헌조사, 선박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기초설계와 실시설계, 조선공학적 분석, 3차원 복원, 축소모형 제작을 거쳐 이뤄졌다.
이날 진수식은 전남도립국악단과 목포시립무용단의 축하공연과 배서낭 모시기, 뱃고사, 돛 올리기, 항해 순으로 열렸다.
마도 1호선은 충남 태안군 신진도에 건립되는 서해 수중유물보관동으로 옮겨져 전시될 예정이다.
소재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소장은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고려시대 운항했던 조운선을 실물 그대로 복원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과거의 우리의 배들이 어떻게 항해했고, 어떤 경로로 역사에 등장했는지 실체를 밝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