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석재로 조선때 지은 보경사 적광전, 보물 지정예고

신라 석재로 조선때 지은 보경사 적광전, 보물 지정예고

입력 2015-02-23 09:49
수정 2015-02-23 10: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화재청은 경북 포항시 보경사(寶鏡寺)의 금당인 적광전(寂光殿)을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예고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포항 보경사 적광전 보물 예고
포항 보경사 적광전 보물 예고 문화재청이 보물 지정을 예고한 포항 보경사 적광전.
문화재청 제공
조선 숙종 3년(1677)에 중창한 것으로 추정되는 적광전은 비로자나불을 주불로 모신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多包系) 맞배지붕 건물이다.

기둥 받침돌인 초석(礎石)과 기둥 하부를 가로로 연결하는 부재인 고막이 등이 전형적 통일신라기 건축 기법을 보여주는데다 전면에 남은 신방석(信防石)이라는 문기둥 밑에 놓는 부재 받침돌 또한 신라시대 옛 부재를 사용해 중창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은 이런 점과 더불어 신방목(信防木)에 새긴 사자상은 국내에서는 유례가 드문 데다 조각이 정교한 점을 들어 보물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 신방목은 보통 둥글게 만들고 태극문양 등을 새기는 데 비해 이곳에서는 사자를 조각했다.

이미지 확대
포항 보경사 적광전 보물 예고
포항 보경사 적광전 보물 예고 문화재청이 보물 지정을 예고한 포항 보경사 적광전. 사진은 그 중에서 사자를 조각한 신방목이다.
문화재청 제공
아울러 공포를 기둥 위만이 아니라 그 사이에도 다수 만들어 넣는 다포계 맞배지붕 건물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측면 공포가 있으며, 다포계 건물에서 흔히 보이는 ‘井’자 모양 천장인 우물반자는 설치하지 않고 서까래를 그대로 드러낸 연배천장(緣背天障)으로 처리한 점도 특징으로 꼽혔다.

보경사는 신라 진평왕 25년(602) 진(陳)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지명(智明) 법사가 창건했다는 전설이 있다.

나아가 1588년 사명대사 유정이 지은 내연산보경사금당탑기(內延山寶鏡寺金堂塔記)라는 기록을 보면 신라 경덕왕 4년(745)에 승려 철민 화상(哲敏和尙)이 중창(重創)했다고 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