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7명이 온라인 스토킹 경험…일부는 협박까지

10명 중 7명이 온라인 스토킹 경험…일부는 협박까지

입력 2015-03-15 10:55
수정 2015-03-15 10: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조사 결과

우리나라 사람 10명 중 7명은 온라인에서 스토킹을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명 중 1명 이상은 온라인에서 모르는 사람이 보낸 메시지를 무시한 일로 협박을 받기도 하는 등 온라인에서의 인권 침해가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정부 출연 연구기관인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만 15~50세 남녀 2천43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조사해 최근 발간한 ‘여성의 온라인 인권피해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69.9%가 ‘온라인 스토킹’을 경험한 것으로 집계됐다.

온라인 스토킹은 온라인에서 모르는 사람에게 계속 연락이 오거나 모르는 사람이 자신의 온라인 행적을 추적하거나 오프라인에서의 만남을 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성별로는 여성이 70.17%로 남성(67.12%)보다 다소 높았다. 연령별로는 남녀 무관하게 나이가 많을수록 온라인 스토킹을 당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이 더 많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유형별로는 ‘모르는 사람이 나의 블로그나 홈페이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방문해 나의 개인정보나 일상을 엿보거나 감시한 적이 있다’는 항목에 전체의 62.2%가 ‘그렇다’라고 답했다.

나아가 ‘온라인에서 모르는 사람이 메일, 댓글, 카카오톡 메시지 등(스팸 제외)을 반복해 보내거나 만나줄 것을 요구한 적이 있다’는 문항에 대해서는 전체의 38%(남성 37.4%·여성 38.8%)가 여기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연령별로는 10∼20대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30∼40대에선 남성이 여성보다 피해 경험이 더 많았다.

또 전체의 29.4%(남성 32.6%·여성 26.1%)는 ‘모르는 사람이 온라인에서 내 주변인에게 접근해 나에 대한 정보를 알아내려고 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전체의 15.4%(남성 17.3%·여성 13.3%)는 ‘모르는 사람이 보낸 메시지를 무시했을 때 협박을 받은 적이 있다’고도 답했다.

보고서는 이런 조사 결과에 대해 우리 사회에서 온라인 스토킹이 만연해 있다는 의미라고 평가했다.

온라인 스토킹 피해를 경험한 응답자들은 경험 장소로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SNS(34.5%)를 가장 많이 꼽았다. 카카오톡, 라인 등을 포함한 메신저(29.7%)와 포털·커뮤니티(14.3%), 개인 홈페이지·블로그(9.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이런 피해를 경험하고도 적절한 대응이 이뤄지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37%가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또 대응을 한 경우에도 ‘서비스 이용을 중단’(22.5%)하거나 ‘서비스 신고센터 신고’(15.7%), ‘서비스 완전 탈퇴’(10.9%), ‘서비스 아이디 새로 만듬’(6.2%) 등 대체로 소극적인 방법을 선택했다.

’항의 및 사과 요구’나 ‘경찰 신고’를 했다는 응답은 각각 6.6%와 1%에 그쳤다.

보고서는 특히 “’서비스 이용 안 함’은 남성보다 여성 응답자 비율이 높아 여성의 소극적 대응 양상이 두드러진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온라인 스토킹에 대한 처벌은 잘 이뤄지지 않는 실정이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보고서는 “실제 법 집행에 있어서 오프라인 공간에서 신체적인 접근이 아닌 한 범죄성을 인정해주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앞으로 피해자가 더욱 심각하게 늘어날 수 있어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