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천경자 화백, 감성 여린 열정적 예술가였다”

미술계 “천경자 화백, 감성 여린 열정적 예술가였다”

입력 2015-10-22 13:44
수정 2015-10-22 13: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징적 어르신인데…허탈”

천경자 화백이 지난 8월 사망한 것으로 22일 알려지자 생전의 그와 인연을 나눈 미술계 지인들은 천 화백이 “감성이 여리지만 강렬한 인상을 남겼으며 경제적 이익이 아닌 작품을 추구한 열정적 예술가였다”고 회고했다.

미술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1924년생인 천 화백은 이미 작고한 변종하, 권옥연, 김흥수 작가와 친분이 있었다.

모두 1920년대생들로 그와 교류한 작가 중 생존작가는 많지 않다고 한다.

임경식 이목화랑 대표는 “천 화백은 어떤 작가보다도 작품을 판매하는 것을 싫어했다”며 “다른 화랑에서 작품을 달라고 돈을 미리 맡겨놓아도 다시 돌려줬다”고 말했다.



임 대표는 “자신의 세 작품을 우리 화랑에서 전시하면 한 점만 판매하고 두 점은 돌려달라고 했다”며 “작품에 대한 애착이 강해 함부로 팔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렇기 때문에 서울시립미술관에 작품도 기증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인물화를 그릴 때 모델을 앞에 두고 그리는 스타일이라 작품 제작시간이 오래 걸렸다면서 “인간적으로도 훌륭한 작가”라고 돌아봤다.

한국화랑협회장을 맡고 있는 박우홍 동산방 화랑 대표는 “천 화백은 감성이 여리고 예민하며 전라도 사투리에서 나오는 강인함이 있었다”고 말했다.

우산, 바바리코트, 한복의 색깔마저도 강렬했다고 한다.

천 화백은 동양화 표구를 다뤘던 동산방 화랑으로 그림을 가져와 액자 틀을 의논했다고 박 대표는 전했다.

박명자 회장이 있는 갤러리 현대에선 2006년 3월8일부터 4월2일까지 천 화백이 1950~1960년대에 그린 미공개작과 1970~1990년대 대표작 30여점, 수채화, 드로잉 등 180여점, 미완성작 40여점 등을 모아 전시회를 열기도 했다.

이 화랑은 1970년대부터 천 화백의 주거래 화랑으로 알려져 있다.

미술계에선 천 화백의 별세 소식에 허탈하다는 반응이 많다.

한 화랑 대표는 “워낙 미술계에선 오래전부터 천 화백의 별세 소식을 예상했지만 정확하게 알리는 과정도 없이 이렇게 밝혀질 줄은 몰랐다”며 “상징적 어르신인데 허탈하면서 황당하기도 하다”고 말했다.

‘천경자 상설전시실’이 있는 서울시립미술관은 관람객들이 고인에게 애도를 표할 수 있는 조촐한 추모의 자리를 마련할 방침이다.

다른 화랑 관계자는 “천 화백이 뉴욕으로 건너간 뒤 병상생활을 하는 모습이 공개된 적이 없는 등 이후 자세한 내용이 알려지지 않아 그의 별세가 한편에선 미스터리로 남을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경숙 서울시의원, 녹천지하차도 소음 문제 해결 서울시와 적극 협력

국민의힘 이경숙 서울시의원(도봉1)은 “녹천지하차도 소음 문제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 주민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안”이라며 “서울시와 협력해 실효성 있는 대책이 신속히 이행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의원의 발언은 지난 6일 서울외국어고등학교 회의실에서 열린 ‘녹천지하차도 소음 해소 현장설명회’ 자리에서 나왔다. 이번 설명회는 이경숙 의원이 주최하고 서울시가 주관했으며, 서울시의회 김용호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해, 창동주공18단지와 대우그린 아파트 등 인근 주민 대표들과 서울시 도로시설과, 북부도로사업소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소음 민원 해소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설명회는 총 1611명(안효덕 외 1610명)이 참여한 주민 청원이 서울시에 정식 채택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열렸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녹천지하차도 인근의 야간 소음이 법정 기준(58db)을 초과해 최대 63db까지 측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서울시는 그간 방음터널, 방음벽 설치, 차량 속도제한, 저소음 포장 등 여러 방안을 검토한 결과, 유지관리성과 도
thumbnail - 이경숙 서울시의원, 녹천지하차도 소음 문제 해결 서울시와 적극 협력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