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천경자 화백, 감성 여린 열정적 예술가였다”

미술계 “천경자 화백, 감성 여린 열정적 예술가였다”

입력 2015-10-22 13:44
수정 2015-10-22 13: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징적 어르신인데…허탈”

천경자 화백이 지난 8월 사망한 것으로 22일 알려지자 생전의 그와 인연을 나눈 미술계 지인들은 천 화백이 “감성이 여리지만 강렬한 인상을 남겼으며 경제적 이익이 아닌 작품을 추구한 열정적 예술가였다”고 회고했다.

미술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1924년생인 천 화백은 이미 작고한 변종하, 권옥연, 김흥수 작가와 친분이 있었다.

모두 1920년대생들로 그와 교류한 작가 중 생존작가는 많지 않다고 한다.

임경식 이목화랑 대표는 “천 화백은 어떤 작가보다도 작품을 판매하는 것을 싫어했다”며 “다른 화랑에서 작품을 달라고 돈을 미리 맡겨놓아도 다시 돌려줬다”고 말했다.



임 대표는 “자신의 세 작품을 우리 화랑에서 전시하면 한 점만 판매하고 두 점은 돌려달라고 했다”며 “작품에 대한 애착이 강해 함부로 팔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렇기 때문에 서울시립미술관에 작품도 기증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인물화를 그릴 때 모델을 앞에 두고 그리는 스타일이라 작품 제작시간이 오래 걸렸다면서 “인간적으로도 훌륭한 작가”라고 돌아봤다.

한국화랑협회장을 맡고 있는 박우홍 동산방 화랑 대표는 “천 화백은 감성이 여리고 예민하며 전라도 사투리에서 나오는 강인함이 있었다”고 말했다.

우산, 바바리코트, 한복의 색깔마저도 강렬했다고 한다.

천 화백은 동양화 표구를 다뤘던 동산방 화랑으로 그림을 가져와 액자 틀을 의논했다고 박 대표는 전했다.

박명자 회장이 있는 갤러리 현대에선 2006년 3월8일부터 4월2일까지 천 화백이 1950~1960년대에 그린 미공개작과 1970~1990년대 대표작 30여점, 수채화, 드로잉 등 180여점, 미완성작 40여점 등을 모아 전시회를 열기도 했다.

이 화랑은 1970년대부터 천 화백의 주거래 화랑으로 알려져 있다.

미술계에선 천 화백의 별세 소식에 허탈하다는 반응이 많다.

한 화랑 대표는 “워낙 미술계에선 오래전부터 천 화백의 별세 소식을 예상했지만 정확하게 알리는 과정도 없이 이렇게 밝혀질 줄은 몰랐다”며 “상징적 어르신인데 허탈하면서 황당하기도 하다”고 말했다.

‘천경자 상설전시실’이 있는 서울시립미술관은 관람객들이 고인에게 애도를 표할 수 있는 조촐한 추모의 자리를 마련할 방침이다.

다른 화랑 관계자는 “천 화백이 뉴욕으로 건너간 뒤 병상생활을 하는 모습이 공개된 적이 없는 등 이후 자세한 내용이 알려지지 않아 그의 별세가 한편에선 미스터리로 남을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2025 가락시장 김장나눔 시민대축제’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구미경 시의원(국민의힘, 성동구 제2선거구)은 지난 17일 국내 최대 규모의 공영도매시장인 서울 가락시장에서 열린 ‘2025 가락시장 김장나눔 시민대축제(가락김장축제)’에 참석해 김장 담그기 작업에 참여하며 나눔의 의미를 더했다. 가락김장축제는 2008년 시작해 올해로 18년째 이어지는 가락시장의 대표 나눔 행사이며, 시장을 구성하는 유통인과 공사가 예산을 마련하고 시민·봉사자들이 함께 김치를 담그며 겨울철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전통적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 올해 행사에는 가락시장 유통인, 기업, 자원봉사자, 어린이, 외국인 등이 참여해 대규모 김장 작업이 진행됐으며, 현장에서 완성한 1만 상자(100t 규모)의 김치는 행사 종료 후 서울시 전역의 취약계층·복지시설 등에 기부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현장 제작 김치만 약 1500상자(전체 기부량의 15%)에 달해 공동체 참여의 의미가 더욱 확대됐다. 구 의원은 김치 명인과 함께 직접 김장을 담그며 일손을 보탰으며, 갑작스러운 기온 하락 속에서도 나눔에 함께한 시민들과 봉사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또한 구 의원은 “김장은 우리 이웃을 하나로 이어온 전통이자 따뜻한 나눔의 문화”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2025 가락시장 김장나눔 시민대축제’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