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국민 공통 식생활지침’에서 살펴본 우유의 중요성

보건복지부 ‘국민 공통 식생활지침’에서 살펴본 우유의 중요성

입력 2017-02-27 15:26
수정 2017-02-27 15: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구식 식생활이 보편화되고 운동 부족의 영향으로 각종 성인병 등을 앓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영양소를 균형있게 고루 섭취하고, 잘못된 식습관을 개선하여 질병 및 만성질환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서구식 식생활이 보편화되고 운동 부족의 영향으로 각종 성인병 등을 앓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영양소를 균형있게 고루 섭취하고, 잘못된 식습관을 개선하여 질병 및 만성질환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서구식 식생활이 보편화되고 운동 부족의 영향으로 각종 성인병 등을 앓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영양소를 균형있게 고루 섭취하고, 잘못된 식습관을 개선하여 질병 및 만성질환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이에 지난해 보건복지부는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공동으로 한국인에 맞춘 ‘국민 공통 식생활지침’을 제정했다. 국민 공통 식생활지침은 바람직한 식생활을 위한 기본적인 수칙으로 볼 수 있으며, 이 지침에는 9가지의 권장사항이 기재돼 있다.

그 첫 번째가 바로 ‘쌀⋅잡곡, 채소, 과일, 우유⋅유제품, 육류, 생선, 달걀, 콩류 등 다양한 식품을 섭취할 것’이다. 특히 고칼슘, 고단백인 우유 및 유제품은 쉽게 접할 수 있는 품목이면서 주요한 영양을 많이 포함한 완전식품이다. 최근 권장섭취량 대비 칼슘섭취 분율이 2005년 71.1%에서 2014년 68.7%로 줄고 12~18세 및 65세 이상에서 칼슘 섭취 부족이 심각한 수준인 상황에서 우유가 칼슘의 훌륭한 공급원이 돼 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2015년 한국영양학회에서는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이 반영된 모형인 ‘식품구성 자전거’를 만들었다. 이 모형에서는 5가지 식품군의 섭취를 통해 균형 잡힌 식사법을 추천한다. 곡류, 고기·생선·계란·콩류, 우유·유제품류, 채소류, 과일류의 총 5가지 식품군으로 나뉘고 이 중 우유 및 유제품을 하루 1~2잔 섭취하도록 권장한다.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이해정 교수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성인의 우유 권장섭취량은 하루 2잔이다. 건강과 영양의 균형을 위해 매일 우유를 마시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겠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우유에는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필수 영양소가 다량 함유돼 있어 매일 꾸준히 섭취하면 균형 잡힌 영양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음식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아미노산이나 단백질, 비타민B군을 충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