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이중섭의 풋풋한 사랑과 가족을 향한 그리움을 담다

청년 이중섭의 풋풋한 사랑과 가족을 향한 그리움을 담다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2-03-16 14:01
수정 2022-03-16 15: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중섭 화가의 가족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을 담은 편지화 ‘길 떠나는  -서귀포시청 제공
이중섭 화가의 가족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을 담은 편지화 ‘길 떠나는
-서귀포시청 제공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이 말에 가장 어울리는 화가 이중섭(1916~1956)이 아닐까. 특히 가난이 낳은 은지화 그림들은 우리의 뇌리 속에 영원히 남아 있다.

2002년 이중섭 전시관으로 개관한 이중섭 미술관이 올해로 벌써 20주년을 맞아 의미있는 특별·기획전이 펼쳐진다.

스물살 맞는 미술관의 첫 행사로 16일부터 이중섭 특별전 ‘청년 이중섭, 사랑과 그리움’과 기획전 ‘가나아트센터 이호재 기증 작품전: 아름다운 울림의 시작’이 동시에 열린다.

특별전 1부로 펼쳐지는 ‘청년 이중섭, 사랑과 그리움’전은 이중섭미술관이 현재 소장하고 있는 은지화·편지화·엽서화를 엿볼 수 있는 기회다. 청년 이중섭의 풋풋한 사랑과 다정한 아빠, 이중섭의 가족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중섭 화가하면 떠오르는 은지화에 주로 등장하는 가족과 아이들,‘게(蟹)’는 서귀포 시절 가족과의 추억이 모티브가 되어 그려진 작품들인데 편지화 ‘길 떠나는 가족’, 은지화 ‘복숭아밭에서 노는 가족’, 엽서화 ‘무제1’ 등 40여점을 만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은지화 ‘가족’ -서귀포시청 제공
은지화 ‘가족’
-서귀포시청 제공

편지화는 이중섭이 1952년 6월 부인과 두 아들을 일본으로 보내고 나서 1955년까지 가족에게 보낸 것으로 가족에 대한 절절한 그리움이 묻어나온다.

이중섭이 1940년~1943년 기간동안 일본 문화학원 미술과 후배이자 연인 관계였던 야마모토 마사코(山本方子)에게 보낸 일종의 연서(戀書)인 엽서화에선 청년 이중섭의 사랑을 엿볼 수 있다. 이중섭특별전 2부 전시는 9월부터 12월까지 이중섭 원화 중 유화를 중심으로 전시될 계획이다.



한편 소장품 한 점 없던 이중섭전시관이 제2종 미술관으로 등록될 수 있게 해준 가나아트센터 이호재 회장의 ‘기증전’에서는 이중섭 원화작품 8점을 비롯해 김병기, 김환기, 장욱진 등 우리나라의 유명 근현대화가의 작품 30여점을 연말까지 만날 수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